"오접종, 오등록? 그게 뭐죠”…강남구보건소, 공공의료 서비스 향상 노력 호평

[김양균의 메드테크] 스타트업 콜라보 오접종 시스템 적용 안전·신뢰 향상 두 마리 토끼 평가

헬스케어입력 :2024/08/07 17:23

주민들이 예방접종을 더 안심하고 참여할 수 있다고 하니까 뿌듯하죠.

김효진 강남구보건소 감염병예방팀장의 말. 강남구보건소에는 최근 작지만 의미있는 변화가 있었다. 스타트업 리얼타임메디체크가 개발한 ‘안심예방접종 프로그램’을 도입한 것이다.

이 솔루션은 예방접종 시 오접종이나 전산 등록 과정에서의 오류를 예방해주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정보의 전달은 의료진과 피접종인 모두에게 제공된다. 즉, 본인이 지금부터 접종받는 주사제가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말이다.

보건소에서의 백신 오접종 및 오등록 사례는 극히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접종현장을 전국 병·의원으로 확대하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실제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하루 간격으로 백신을 두 차례나 접종하거나 생후 7개월 유아에게 독감 백신 대신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는 등의 일 등이 발생한 바 있다.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는 배경에는 접종 현장의 특성도 있다. 백신의 종류는 다른데 주사제의 모형은 유사한 것들이 여럿 보관돼 있고, 접종 의료인이 접종 전 환자정보나 백신 이름·유통기한·제조번호 등을 매번 확인해야 한다. 피접종자가 몰리면 오류의 발생 가능성은 높아질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강남보건소가 미란다 헬스케어 서비스 도입을 결정한 것도 이러한 ‘오류’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당신이 강남구보건소에 예방접종을 위해 방문했다면 다음의 과정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우선 당신의 정보가 담긴 QR코드와 주사제의 바코드를 직원이 스캔하는 즉시 당신은 맞게 될 백신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백신 정보에 문제가 없다면 접종이 이뤄지고, 접종 받을 주사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당신에게 발송된다.

접종이 끝나면 일정 시간마다 당신의 몸 상태를 묻는 설문이 모바일로 전송된다. 이에 맞춰 접종 후 컨디션을 응답하면, 그 내용은 의료진에게 전달된다. 답변 내용을 토대로 당신이 접종 후 혹시 모를 부작용이나 이상반응 등이 없는지를 모니터링하게 되고, 필요시 치료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처음에는 필요성 알지만 일만 늘어날까 걱정도

이처럼 오접종 및 오등록을 예방하는 혁신 기술의 도입 필요성은 공감했지만 실제 도입이 이뤄지기까지는 쉬운 결정이 아니었다. 김효진 감염병예방팀장의 설명이다.

도입 전 직원들 반응이요? 솔직히 긍정적이진 않았죠(웃음). 예방접종 업무가 가뜩이나 바쁘고 정신없는데 민원인에게 설명하는 단계가 하나 더 늘었으니까요. 그래도 민원인에게 도움이 되니까 그들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도입을 결정했어요. 적용 과정에서 직원들이 수정의견을 전달하면 개발사가 보완하면서 자리를 잡아갔습니다.

그렇다면 접종을 위해 보건소를 방문한 이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번거로워하는 이들도 없지 않았지만 대체로 만족감을 보였다고.

“‘아이고 난 그런거 안 해요’라던 민원인이야 당연히 계시죠. 일단 스캔을 해서 등록한 후에 접종 정보를 보여드리면 만족해하면서 안심을 하시더라고요.”

이처럼 미란다 서비스를 통한 민원인의 알권리 충족은 사실 의료진과 피접종인 모두에게 유익한 경험이다. 어쩌면 경험해보지 못한 의료서비스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백신 제조사가 어딘지, 유통기간은 언제까지인지를 아는 경우보다 모르고 예방접종을 하는 경우가 더 많았을 겁니다. 독감백신만해도 여러 제조사의 제품이 존재하거든요. 강남구보건소에서는 접종 이전에 이런 정보를 빠짐없이 공개해서 보여주니까 신기해하시죠. ‘와, 여기에서는 이런 것도 알려주네’라고요.”

김효진 강남구보건소 감염병예방팀장

피접종인이야 만족한들 숱한 접종 업무를 해야 하는 강남구보건소 예방접종실 인력에게는 업무가 가중돼 불편하기만 한 것은 아닐까. 김 팀장 말고 예방접종실의 한 직원에게 살짝 물어봤다. 답변은 기대와는 달랐다. 업무가 과중되는 시기에 오류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것. 듣고 보니 납득이 됐다.

“직원 입장에서도 혹시 모를 오접종이나 오등록 발생 이전에 예방이 가능하니까 안심이 되는 거예요. 특히 접종자가 몰릴 때는 엄청 정신이 없는데, ‘안전장치’가 있으니까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 큰 도움이 됩니다.”

위의 강남구보건소에서의 경우는 스타트업의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공공의료에 도입된 여러 사례 중 하나에 불과하다. 이들의 시도가 공공의료 서비스의 개선 혹은 향상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관공소의 모범사례가 되길 바란다”는 보건소 직원들의 바람이 현실이 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