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경제혁신 촉진 일등공신···AI와 만나야"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 16일 엘타워서 '제 42회 AIIA 조찬포럼' 개최

디지털경제입력 :2024/07/16 11:54    수정: 2024/07/16 13:08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회장 장홍성 SK텔레콤 부사장, 옛 지능정보산업협회)가 개최한 'AIIA(AI Is Anywhere) 제42회 조찬포럼'이 16일 오전 서울 엘타워 지하 1층 골드홀에서 열렸다. 이 행사는 협회와 지능정보기술포럼(TTA ICT 표준화포럼 사업)이 공동 주최하고 지디넷코리아 등이 후원했다. 특히 이번 '42회 조찬포럼'은 AI와 로봇 시대를 맞아 한국로봇산업협회도 공동 주최로 참여했다.

'인간은 꿈을 꾸고 로봇은 실현한다'를 주제로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손웅희 원장이 기조 강연을 했고 '로봇산업과 인공지능'을 주제로 고경테크놀러지 고경철 전무가 발표를 했다.

손웅희 원장은 "나의 신조이기도 하다"면서 로버트 풀검(Robert Fulghum)의 유명한 '6가지 신조'를 들려주며 강연을 시작했다.

"나는 지식보다 상상력이 중요함을 믿는다

신화가 역사보다 더 많은 의미를 담고 있음을

꿈이 현실보다 강력하며

희망이 항상 어려움을 극복 해준다고 믿는다

그리고 슬픔의 유일한 치료제는 웃음이며

사랑이 죽음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나는 믿는다"

또 영화 매트릭스 모티브가 된 소설 ‘사이버스페이스’ 저자 윌리엄 깁스(William Gibson)가 말한 유명한 어구인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널리 퍼져있지 않을 뿐(The future is already here. It’s just not very evenly distributed)'를 소개하며 산업 대전환 시대를 맞아 필요한 '미래 준비'를 강조했다.

한양대서 메카트로닉스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손 원장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 초기 멤버로 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 소장, 미래산업전략본부 본부장, 융합생산기술연구소 소장, 부원장을 역임하고 2021년 4월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에 부임했다. 생기원은 국내 최초로 인간을 닮은 안드로이드 로봇 '에버'를 만든 곳이기도 하다.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가 개최한 'AIIA(AI Is Anywhere) 제42회 조찬포럼'이 16일 오전 서울 엘타워 지하 1층 골드홀에서 열렸다.

기업이 돈을 벌게 해주는 곳이 정부 출연연(출연연구원)이 하는 일이라고 짚은 그는 우리 경제가 제조경제, 지식경제, 뉴딜경제, X전환 순으로 진화했다면서 "로봇이 들어가면 클린하게 바뀐다. 3D산업을 ACE(에이스)로 만들어주는게 로봇"이라고 밝혔다.  세계 주요 휴머노이드 개발 현황도 소개했다. 중국은 유비테크, 유니트리, 샤오미, 푸리에인텔리전스 같은 회사가 주도하고 있고 미국은 피규어AI, 테슬라, 앱트로닉, 애질리티로보틱스가 선도하고 있다. 노르웨이에는 '이브'라는 로봇을 가진 1X 회사가 있다. 한국은 현대차가 인수한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아틀라스'가 있다. AI반도체 시장 절대 강자인 미국 엔비디아도 '그루트'라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있다. '그루트'는 엔비디아 '토르' 시스템온칩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글로벌기업들은 휴머노이드로봇에 대대적으로 투자하고 있는데 엔비디아의 경우 AI로봇회사 피규어AI에 9000억을 투자했다. 전기차 대명사 테슬라는 '옵티머스 2세대'를 자동차 공장에 투입 및 대량생산을 계획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적극 투자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을 14.8% 매입했고, LG전자는 엔젤로보틱스과 베어로보틱스에 각각 30억원과 800억원을 투자했다.

손웅희 원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특히 손 원장은 로봇은 경제혁신 촉진, 노동시장 변화 대응, 미래산업 등 '1석3조' 산업이라면서 "이제 움직이는 모든 것이 로봇인 시대가 됐다. 로봇은 전방위 산업으로 다양한 분야와 융복합해 지능화한 서비스를 창출한다"고 강조했다. 로봇의 3대 기본가치와 6대 원칙도 소개했다. 3대 기본가치는 '인간을 이롭게 하는 로봇' '신뢰할 수 있는 로봇' '공공선을 추구하는 로봇'이고 6대 원칙은 침해금지, 안정성, 투명성, 책임성, 공정성, 지속가능성 등이다.

한국 로봇 산업 현황도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한국은 로봇밀도가 세계 1위지만 노동생산성은 27위에 머물렀다. 실제 세계로봇연맹(IFR)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의 로봇 밀도는 종업원 1만명당 1036대로 세계 1위다. 하지만 노동자 만명당 로봇수 증가율은 중국이 가장 가파르다. 2022년 기준 세계 로봇시장 규모는 305억달러로 최근 6년간 연평균 5.7% 성장했다. 분야별로는 제조용 로봇이 158억달러, 서비스용 로봇이 147억달러를 보였다. 손 원장은 "중국과 미국, 일본, 독일, 한국 등 빅5 국가가 전체 시장의 77.8% 차지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의 부품 국산화율이 낮은 이유는 국내 시장이 작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일본과 독일이 가라앉고 있어 우리나라가 세계 톱3에 들 유리한 환경"이라면서 "글로벌 로봇산업의 진화가 빨라지고 선점경쟁이 가속화하고 있다"고 짚었다.

장홍성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손 원장은 로봇이 '현실로 다가온 미래산업'이자만 기술, 인력, 시장, 기업 등 여러면에서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고 해석했다. 실제 기술의 경우 부품 국산화율이 44% 수준이다. 또 기술 핵심인 소프트웨어와 센서는 선도국과 기술격차가 크다. 인력은 2030년까지 전문인력이 1.5만명 부족한 상황이다. 시장은 제조로봇 밀도 1위지만 특정 업종에 치우쳐 있다. 서비스로봇 시장 규모는 제조로봇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손 원장은 "국내 로봇 기업 2500곳 중 99%가 중소기업"이라면서 "제도, 인프라 등 시장진입 걸림돌도 여전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손 원장은 우리 정부가 로봇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정책도 소개했다. 그에 따르면 정부는 로봇3대(기술, 인력, 기업) 핵심 경쟁력 강화, K로봇 전면 확산, 로봇친화 환경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손 원장에 이어 발표를 한 고경철 고영테크놀로지 상무는 "지난 20~30년간 정부가 충분히 지원했다. 충분히 에너지를 받았으니 이제 협회, 학회, 로봇 소사이어티 등 민간이 자주 만나고 소통해 로봇 강국이 되는데 주역이 되자"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 학생들 능력이 뛰어나다. 기업도 그렇다"면서 "지난 20년간 학습해 내공이 올라왔다. 예전에 로봇 3대 강국을 슬로건으로 내세웠는데 정말 로봇 강구을 위해 계속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