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파업과 영화 ‘쉘 위 댄스’

[이균성의 溫技] 차이와 공감

데스크 칼럼입력 :2024/07/15 09:41    수정: 2024/07/15 17:51

일본 배우 야쿠쇼 코지를 발견하고 나서 가끔 그가 출연한 영화를 찾아보곤 한다. 최근에 본 영화는 ‘쉘 위 댄스(Shall we ダンス)’다. 1996년 개봉작이고 비교적 그의 초기 작품이다. 2004년에는 리처드 기어 주연으로 미국에서 같은 제목으로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쉘 위 댄스’는 1951년에 뮤지컬로 공연되고 1956년 영화로 제작된 ‘왕과 나’의 대표곡이기도 하다. 일본 영화에도 그 대목이 나온다.

‘쉘 위 댄스’는 평범한 직장인 스기야마 쇼헤이(야쿠쇼 코지)가 볼룸댄스(ballroom dance)를 배우며 겪게 되는 이야기다. 이 영화는 일상에 지친 스기야마가 댄스를 통해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삶의 활력을 얻는 이야기로 소개되곤 한다. 하지만 그보다 삶의 변화 때문에 발생하는 갈등과 그 해소 과정을 통해 인간성 회복을 희망적으로 그리고 있다는 관점에서 보면 영화를 감상하는 재미가 더 크다.

‘쉘 위 댄스’는 어쩌면 우리가 끝내 찾고자 하는 희망의 다른 이름일 지도 모른다. 관계의 덫에 빠져 갈등하다 소진하는 것이 인생일 수도 있지 않겠는가. ‘쉘 위 댄스’는 그런 삭막한 인생사에서 잠깐 드러나는 오아시스다. 잠시나마 인간성에 대한 갈증을 해소할 수 있게 해준다. ‘쉘 위 댄스’는 개인 사이의 관계에 천착한 이야기지만 집단 사이의 갈등을 풀 때에도 참고할 만한 요소가 여럿 있다.

삼성전자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이 총파업에 돌입한 8일 경기도 화성시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정문 앞에서 총파업 결의대회에 참가한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시스)

집단 사이의 갈등은 인간의 인간성을 의심케 만든다. 어쩌면 인간은 집단 사이의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소할 능력이 없는 존재인지도 모른다. 오직 파국만이 갈등을 해소하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다. 70~80년 전에 나치에 의해 대량 학살되는 홀로코스트를 겪어놓고도 70년 이상 지속적으로 팔레스타인을 유린하고 있는 시온주의자들을 보라. 전쟁도 불사하겠다는 듯 대치하고 있는 남북은 어떤가.

차원은 다르지만 삼성전자 파업을 보면서도 비슷한 생각을 했다. 지금은 잘 보이지 않지만 한때 삼성 기업 광고의 핵심 콘셉트는 ‘또 하나의 가족’이었다. 이 말이 뭘 의미하는 지는 굳이 해석할 필요가 없겠다. 이에 빗대 만든 ‘또 하나의 약속’이란 영화가 있다. 삼성 반도체에서 일하다 사망한 딸의 아버지가 죽은 딸에게 약속한다. 죽음에 이르기까지 매몰찼던 진상을 밝히고 세상에 알리겠다고.

‘또 하나의 가족’과 ‘또 하나의 약속’은 모두 다 어떤 명분을 갖고 있겠지만 결국 ‘쉘 위 댄스’로 나아가지 못했다. 삼성에도 노조가 생기고 창사 이래 첫 파업이 벌어졌다. 노조는 1차 파업에 이어 2차 무기한 파업을 선언했다. 자본주의 기업에서 파업은 병가지상사지만 삼성에겐 새로운 도전이다. 지금까지 단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갈등을 겪고 있으며 이를 해소해야 할 시험대에 올라선 것이다.

쉘 위 댄스의 갈등선은 여러 개가 중첩되지만 그중 핵심은 두 가지다. 스기야마와 댄스 여선생인 키시가와 메이, 그리고 스기야마와 그의 부인인 스기야마 마사코. 갈등의 출발은 볼룸댄스가 음험한 일탈로 오해되곤 한다는 현실이다. 스기야마가 메이를 마음에 둔 것은 맞지만 그 자체가 음험한 일이라 볼 순 없다. 하지만 메이는 스기야마를 불량 중년으로 여기고, 마사코는 사설탐정까지 붙인다.

메이와 마사코의 행동을 낳은 것은 불신이다. 원인 제공자는 물론 스기야마다. 눈여겨 볼 대목은 관계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갈등을 어떻게 해소하는 지에 관한 방법론이다. ‘쉘 위 댄스’의 해법은 ‘마주보고 차이를 따지기보다 나란히 앉아 같이 바라볼 대상을 찾는 게 먼저라는 것’이다. 갈등은 차이에 대한 불인정이다. 그때는 마주앉아봐야 차이만 커진다. 먼저 공감할 소재를 찾아야 한다.

관련기사

신뢰는 서로 같이 바라봐야 할 것을 공유하기 때문에 생기는 공감이다. 그걸 찾아야 불신을 넘어 차이를 인정할 수 있게 된다. 볼룸댄스는 서로 다른 두 존재가 앞으로 나아가고 뒤로 물러서고 옆으로 돌고 도약할 때 마치 한 몸처럼 호흡을 맞추는 예술이다. 그것은 마주보며 차이를 없앰으로써 예술의 경지에 오르는 것이지만 그러려면 먼저 나란히 앉아 같은 것을 보며 공감을 키워야 한다.

‘쉘 위 댄스’는 공감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인간성 회복을 말한다. 삼성전자 노사에 필요한 노력도 그것이다. 마주앉아 차이를 따지기 전에 나란히 앉아 같은 곳을 바라보고 있다는 신뢰 회복이 먼저다. 싸울 때는 차이가 중요하고 공감하는 바는 사소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다. 공감하는 것이 거의 전부이고 차이는 아주 사소한 것이다. 마주앉아 싸우느니 나란히 앉아 별을 보는 게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