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CATL 회장, 韓 '화성 화재' 언급하며 가격경쟁 질타

"가격보다 품질·안전 경쟁해야"…경쟁사 견제 발언 해석도

디지털경제입력 :2024/06/26 11:08

세계 전기차 1위 기업 중국 CATL의 로빈 젱(쩡위친) 회장이 배터리 가격이 아닌 안정성으로 경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한국 화재 사고를 계기로 경쟁 배터리 기업들을 견제한 발언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25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쩡위친(로빈 정) 회장은 하계 세계경제포럼(WEF·이하 하계다보스포럼)에서 열린 제15차 새로운 지도자 연례회의에 참석해 "배터리 업계는 기술, 기술이 가져다주는 장기적 가치, 지속가능한 가치, 안정성, 신뢰성 등에서 경쟁해야 한다"고 했다.

쩡위친 CATL 회장 (사진=CATL)

이어 배터리 공장 화재 사고를 언급하며 "가격이 아니라 생명 주기와 품질, 안전에서 격렬하게 경쟁해야 하며 안전하지 않은 배터리를 집에 둔다면 끝없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일차전지 기업 아리셀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 직후 나온 발언이라 경쟁 배터리 기업들을 겨냥한 발언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 전기차 시장이 공급 과잉으로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이 심해지며 CATL 역시 주문을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가격 경쟁에 동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CATL은 중국은 물론 국내 주요 배터리 기업들과도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최근 CATL은 시장 경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 6일·하루 13시간 일하는 '869근무제를' 100일간 실시한다는 사실이 현지 매체 보도로 알려지며 논란이 일었다.

관련기사

SNS 등에 퍼진 CATL 문서에서는 '100일 분투 계획' 추진 배경이 “최근 신에너지 승용차시장 보급률이 처음으로 50%를 넘겼지만, 시장 환경은 갈수록 복잡해지고 경쟁도 치열해졌다”며 “조직이 부여한 임무를 더 잘 완수하기 위해 각 업무별 (목표) 달성을 가속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쩡 회장은 논란이 된 '100일 분투 계획'에 대해 해명하기도 했다. 그는 "100일 분투는 기본기를 충실히 하자는 것이었으며, 이를 강요하지 않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