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헬스, 의료서비스 가치 높이지만 맞춤형 접근 필요

헬스케어입력 :2024/06/26 10:37

류승현 기자

글로벌 E-Health 시장이 급격히 커지고 있는 가운데,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각국의 다양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간한 ‘2024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에 포커스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글로벌 E-Health 도입: 사례와 전략 분석’이 실렸다.

E-Health(이하 이헬스)는 전자식 보건정보관리시스템을 말하는데, 의료정보를 디지털화하고 공유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정보 접근성 향상 ▲의료서비스 질 향상 ▲비용 절감 ▲환자 및 의료 제공자 경험 개선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글로벌 이헬스 시장의 규모는 640억 달러(약 87조 9천360억원)로 추산된다. 오는 2027년에는 1천90억 달러(약 149조 7천66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다양한 국가에서 전자건강기록(EHR), 원격의료, 온라인 약국 등의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다. 

미국은 1970년대 초 전자건강기록 프로젝트를 시작해 의료정보를 디지털화하고 공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노르웨이는 1996년부터 원격의료시스템을 통해 장거리 외래진료 및 치료에 화상회의를 사용, 의료 접근성이 어려운 농촌 지역 등의 환자들이 적시에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이용한다. 또 덴마크는 모든 거주자의 건강 상태와 의료기록을 포함하는 국가건강포털을 운영, 의료 전문가와 환자가 건강 정보를 쉽게 접근·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도입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는데, 환자 입장에서는 좋지 않은 앱 디자인, 어려운 의료 용어 등으로 직관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다. 의료제공자에게도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 문제,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보안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글로벌 E-Health 분석’에서는 이헬스 도입을 위한 단계별 전략을 제안했다. 우선 초기 단계는 전자건강 솔루션에 환자와 의료전문가를 대량으로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두 번째 확산 단계에서 사용자의 일상에 이헬스의 정기적인 사용 유도, 마지막으로 사용자에게 디지털 생태계의 혜택을 극대화하는 혜택 극대화하는 내용이다. 

이와 함께 이헬스 솔루션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의료 시스템과 인프라, 문화적 맥락 등을 고려하는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일률적인 접근 방식은 특정 국가에서 효과적일 수 있으나, 다른 국가에서 비효율적이거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