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건강] 화려하지 않은 버섯은 섭취 가능? 큰일납니다

식약처, 독버섯과 구분 어려워...속설 근거 없어 야생버섯 먹지말아야

헬스케어입력 :2024/06/25 10:06    수정: 2024/06/25 16:18

여름철을 맞아 야생버섯 섭취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14년~2023년 야생버섯 중독 사고는 총 5건으로 조사됐다. 그렇지만 발생한 환자 수는 38명으로 1건당 평균 환자 수가 7.6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야생버섯을 가족 및 지인과 나눠 먹어 피해가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국내 자생 버섯 2천215종 중 섭취 가능한 것은 일부이며, 대다수는 식용이 불분명하거나 독이 있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여름철 독버섯. 시계방향으로 우산광대버섯, 혹깔때기버섯, 맑은애주름버섯, 마귀광대버섯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실제로 국립수목원이 산림생물표본관(KH)에 소장한 3만여 점 표본을 분석한 결과, 6월~8월 많이 발생하는 독버섯은 ▲우산광대버섯 ▲혹깔때기버섯 ▲맑은애주름버섯 ▲노란개암버섯 ▲좀벌집구멍장이버섯 ▲흑자색미친그물버섯 ▲독우산광대버섯 ▲큰주머니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등이다. 

독버섯은 비슷한 모습의 식용버섯과 동시에 자라는 경우도 많아 구별하기 어렵다. 지난해 야생버섯을 먹고 아무 이상이 없었다고 해도 올해 같은 장소에서 발생한 버섯이 안전하다고 봐서도 안 된다.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다른 오염균으로 인해 추가적인 중독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민간 속설에만 의존해 야생버섯의 식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위험하다. 대부분의 민간 속설은 과학적 근거가 없으며, 독버섯 종류는 매우 다양해 하나의 기준으로 쉽게 구분할 수 없다.

대표적으로 ‘색깔이 화려하지 않고 원색이 아닌 것은 식용할 수 있다’는 속설은 사실과 다르다. 화려한 색깔을 지닌 달걀버섯은 식용버섯으로 분류되며, 수수한 외형과 색깔을 지닌 독우산광대버섯은 맹독성을 나타낸다.

식용버섯과 모양이 비슷한 독버섯들. 왼쪽의 개암버섯은 식용이 가능하며, 오른쪽의 노란개암버섯은 독버섯이다.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또 ‘세로로 찢어지는 버섯은 식용할 수 있다’는 상식도 잘못됐다. 삿갓외대버섯은 느타리처럼 세로로 잘 찢어지지만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액이 있는 버섯은 식용 가능하다’는 속설도 있는데, 독버섯인 새털젖버섯은 잘랐을 때 유액이 나온다.

이와 함께 ‘곤충이나 달팽이가 먹은 흔적이 있는 버섯은 사람이 먹어도 무해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버섯 균독소의 작용기작은 사람과 동물에서 달라 이를 바탕으로 먹을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다. 아울러 ‘은수저를 변색시키지 않는 버섯은 식용 가능하다’는 속설은 과학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맹신해서는 안 된다.

관련기사

식약처는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야생에서 채취한 버섯은 섭취하지 말고, 이미 섭취해 증상이 발생했다면 빨리 토해내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섭취한 독버섯을 가지고 즉시 병원에 내원할 것을 당부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장갑열 과장은 “독버섯은 자생지의 발생환경과 단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색깔을 띠고 식용버섯과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전문가가 아닌 이상 구분하기 매우 어렵다”며 “중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야생버섯보다 느타리 및 팽이버섯 등 농가에서 생산한 믿을 수 있고 신선한 재배 버섯을 이용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