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17일·연세의대 27일부터 휴진…성균관의대 교수도 휴진 논의

서울대병원 휴진 참여 교수 529명…중대본, 휴진 대응 방안 논의

헬스케어입력 :2024/06/16 10:28    수정: 2024/06/17 08:32

주요 상급병원 교수들의 휴진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성균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무기한 휴진 논의를 시작했다. 전체 교수들에게 무기한 휴진 관련 사항에 대한 설문 조사 시행 및 전체 교수 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앞서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삼성창원병원 교수들은 6월18일 대한의사협회 주관 전국의사궐기대회/휴진에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와 함께 참여하기로 한 바 있다.

가장 먼저 휴진을 밝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6월17일부터 시작하는 휴진에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개 병원의 교수 절반 이상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위는 6월17일 전체 휴진을 앞두고 4개 병원의 임상과별 휴진 참여 현황 조사 결과, 6월 17일~22일 사이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조치를 시행한 교수 숫자는 52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진료에 참여하는 전체 교수 967명 중 54.7%에 해당하는 수치이며, 수술장이 있는 3개 병원의 합계 수술장 예상 가동율은 62.7%에서 33.5%로 낮아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비대위는 “휴진으로 진료 예약 변경이 된 경우 개별 교수 자체적으로, 또는 비대위 지원을 통해 환자에게 알려드리고 있으며, 현재까지 비대위에 접수된 지원 요청 건 모두에 대해 예약 변경과 환자 알림 절차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또 서울대병원 교수들 중 응급‧중환자와 희귀‧난치‧중증 질환에 대한 진료는 유지키로 하면서 교수들의 휴진 지지에 대한 성명서를 받고 있는데, 비대위는 “해당 성명서에 첫날에만 344명의 교수가 동참했다. 휴진에 참여하는 529명과 성명서를 제출한 344명 등 총 873명의 교수(90.3%)가 휴진 지지 의사를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에서는 전공의를 향한 행정처분 취소와 의료사태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 조치를 요구해왔으며, 이를 위한 정부의 실질적인 조치가 있다면 휴진을 철회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비대위는 휴진 시작일인 6월17일 오전 서울의대 융합관 안윤선홀에서 집회와 행사를 개최하고, 오후에는 ‘전문가 집단의 죽음’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진행한다.

연세대학교의과대학 교수비상대책위원회(이하 ‘연세의대 비대위’) 역시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다.

연세대의대·세브란스병원·강남세브란스병원·용인세브란스병원 소속 ▲임상학 전임교원 ▲기초학 전임교원 ▲임상교원 ▲진료교원 등이 소속된 연세의대 비대위는 응급실·중환자실·투석실·분만실 등을 제외한 모든 외래진료 및 비응급 수술과 시술을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키로 결의했다.

연세의대 비대위는 “의사협회 주관의 18일 하루 휴진 이후 정부의 현 의료사태와 교육사태를 해결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연세의대 교수는 병원의 필수의료를 뺀 모든 외래진료 및 비응급 수술과 시술을 27일부터 기한을 정하지 않고 정부의 가시적 조치가 취해질 때까지 휴진하겠다”며 “정부는 전공의와 학생에게 용기 있고 과감한 선제적 조치를 취해 분위기를 조성하고 직접 대화에 나서 전공의와 학생을 복귀시켜라”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외에도 가톨릭의대와 울산의대 교수들도 무기한 휴진을 고민 중이다. 앞서 이들 의과대와 소속 병원들은 18일 집단휴진에는 참여키로 한 바 있다.

한편 정부는 16일 집단휴진 대응 방안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6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지금도 환자와 그 가족이 불안해하고 있다”며 “의사들이 의료개혁의 틀 안에 들어와 브레인 돼 주기를 기대한다”고 집단행동 중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