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의 필요성을 평가하는 예측 모델을 처음으로 개발했다.
김기동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와 황우연 경희대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은 2000년~2008년 기간 동안 자궁경부암 ‘변형 근치자궁절제술’ 및 ‘근치적 자궁적출술’을 받은 20세~45세 환자 886명의 데이터를 종양 크기와 연령을 기준으로 4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눠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종양 크기별 방사선 치료 위험도 ▲종양 2.45cm 이하, 13.4% ▲2.45cm 초과~ 3.85cm 이하, 43.3% ▲3.85cm 초과 및 39.5세 이하, 84.4% ▲3.85cm 초과 및 39.5세 초과, 88.5%의 위험도를 나타냈다.
자궁경부암 환자는 수술 후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방사선 치료를 받는대, 조직검사 결과 암세포가 자궁 조직 주변이나 림프절을 침범하는 등 위험 요소가 있는 경우에 방사선 치료 대상이 되며 그렇지 않은 환자는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으면 난소의 기능이 상실 및 저하된다. 때문에 수술 시에 미리 난소의 위치를 방사선 치료 범위 밖으로 옮기는 ‘난소전위술’이 실시되지만, 이 경우에도 난소의 기능 저하 및 복통·낭종 발생·혈관 손상 등 합병증이 발생한다.
결국 방사선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만 난소전위술을 시행해야 하지만, 수술 전 난소전위술 시행여부를 결정하는 표준화된 지침이 없는 상태다. 때문에 담당의 경험에 기반한 판단을 따르다 보니, 난소전위술을 시행했는데 조직검사 결과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관련기사
- [1분건강] 한국인 자폐 유발 유전자 변이 규명돼2024.06.07
- [1분건강] 어셔증후군, 유전형 따라 난청·실명 증상 더 심각2024.06.06
- [1분건강] 담배·술·카페인, 부정맥 부른다2024.06.05
- 中 CXMT 'DDR5' 개발 파급력은…전문가 "수율 80% 수준 가능"2024.12.19
이번 연구는 이에 대한 표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김기동 교수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폐경 전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전 예측된 위험도에 따라 난소전위술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됐다”며 “해당 모델을 임상에 적용해 환자가 중심이 되는 치료를 시행하고 이를 통해 부인과 종양학의 치료 표준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