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에듀 원더버스, 경기도 초·중등 교사 디지털 시민교육 지원 신청 받아

경기도 교육청 대상…크롬 등 자유로운 멀티플랫폼 환경 제공해 범용성과 효율성 확보

중기/스타트업입력 :2024/06/05 10:12    수정: 2024/06/05 10:12

NHN에듀(대표 강용혁)는 메타버스 기반 학습경험 플랫폼(Learning eXperience Platform, LXP) 원더버스 내 디지털 리터러시 콘텐츠를 통해 경기도 교육청이 추진하는 ‘상용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디지털 시민교육 수업 운영지원 사업’에 참여한다고 5일 밝혔다.

경기도교육청에서 주관하는 이번 사업은 민간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해 디지털 리터러시(문해력) 향상에 핵심인 디지털 시민교육을 교육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키자는 목적으로 진행되며 현재 도내 초·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6월 7일까지 사전 수요 조사를 받고 있다.

지난 3월 공식 런칭한 원더버스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세계시민교육 중심 콘텐츠를 교육 현장에 제공하고 있다. 원더버스는 수준 높은 3D 그래픽으로 원더시티를 구현하여 몰입감을 키웠고, 스토리텔링 기반의 교육 콘텐츠로 교육 효과를 극대화했다. 메타버스 기술로 접하는 교육 콘텐츠인 만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가 핵심이라는 판단에 전현직 교사들의 철저한 검증을 거쳐 교실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고안했다.

NHN에듀, 원더버스 활용해 경기도 교육청 디지털 시민교육 수업 운영 지원

원더버스 표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시민의식의 향상과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춰 4가지의 학습 목표 아래 촘촘한 커리큘럼을 설계했다. 먼저 ▲‘디지털 기기와 소프트웨어 활용’ 부문은 가장 기초적인 단계로 원더버스 속에서 만나는 디지털 세상과 소프트웨어, 인공지능(AI) 등을 경험한다. ▲‘디지털 정보의 활용과 생성’ 단계에서는 자료를 수집하고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 콘텐츠를 만드는 창작 과정을 포함한다. ▲‘디지털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단계에서는 디지털 세계에서 소통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고 디지털 도구 중 하나인 화상회의나 전자투표를 통해 가상세계의 문제를 풀어 본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윤리와 정보 보호’ 영역에서는 사이버 범죄 예방 및 대처 방법, 개인정보와 저작물 보호의 중요성, 디지털 인간관계에서 지켜야 할 예절 등을 익혀 실제 현실에서도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다.

관련기사

원더버스는 각 사용자에게 맞는 최적의 활동을 위해 학생용 원더플레이와 교사용 원더클래스를 구분하여 제공한다. 더 나아가 학교마다 갖추고 있는 디바이스 운영 환경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기기 제한을 없앤 자유로운 멀티 플랫폼 환경을 지원하고 있다. PC, 태블릿, 모바일, 크롬 등 다양한 형태의 환경의 지원과 접근이 가능하고, 동시 접속 최대 인원도 무제한으로 설정하여 타사 대비 효율성과 범용성을 동시 확보한 게 큰 특징이다.

이장원 원더버스 최고전략책임자(CSO)는 “디지털 시민역량은 디지털 사회를 올바르게 살아갈 수 있는 핵심 능력으로 이를 길러주는 교육 콘텐츠를 만드는 건 에듀테크 기술이 집약된 원더버스에게 사명과도 같다”며 “교육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로 학생들이 정보보호에 대한 개념을 익히고 인터넷 중독을 경계하는 등 스스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교사들과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