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초고가 케이크 또 올랐다..."하루 3개, 각 50만원"

신라호텔 크리스마스 최고가 케이크, 작년보다 10만원↑

유통입력 :2025/11/21 16:16    수정: 2025/11/21 16:20

크리스마스 시즌을 앞두면서 호텔업계의 초고가 케이크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올해 최고가 케이크는 지난해보다 10만원 오른 50만원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매년 가격이 큰 폭으로 치솟는 모습이다.

올해 최고가도 신라호텔…50만원까지 치솟아

21일 호텔업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출시된 특급호텔의 크리스마스 케이크 중 최고가는 서울신라호텔의 ‘더 파이니스트 럭셔리’ 케이크다.

해당 케이크 가격은 50만원으로 블랙 트러플과 100% 자연산 화이트 트러플을 사용했다. 화이트 트러플은 블랙 트러플 가격의 3~4배에 달한다. 마시는 황금이라고도 불리는 프랑스 디저트 와인 ‘샤또 디켐’과 함께 360시간 숙성한 건과일도 포함됐다. 케이크 제작에는 약 6~7일이 소요되며 하루 최대 3개만 판매한다.

서울신라호텔 크리스마스 케이크 ‘더 파이니스트 럭셔리’ (제공=호텔신라)

이와 함께 서울신라호텔은 ▲더 조이풀 신라베어(35만원) ▲누아 트러플 미니(8만원) ▲화이트홀레디이(18만원) ▲루미너스 레드(16만5천원) 등도 공개했다.

주요 호텔들도 30만원대 케이크를 앞다퉈 출시했다. 워커힐 호텔앤리조트의 최고가 케이크는 38만원이다. ‘2025 뤼미에르 블랑슈’ 케이크로 프랑스어로 ‘하얀 겨울의 빛’을 의미한다. 워커힐의 시그니처 케이크 중 하나인 ‘딸기 샌드 케이크’를 베이스로 활용했고 화이트 초콜릿으로 만든 작은 집과 울타리 장식을 올렸다.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는 시그니처 케이크 ‘메리고라운드’를 35만원에 50개 한정으로 판매한다. 포시즌스 호텔 서울은 ‘다이아몬드 포시즌스 리프’를 30만원에 선보였고 파라다이스호텔은 우체통 모양의 ‘산타 포스트박스’, ‘딸기 트리’ 등 8만~14만원대 케이크를 내놨다.

워커힐 호텔앤리조트 ‘2025 뤼미에르 블랑슈 케이크’ (제공=워커힐 호텔앤리조트)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인수한 하이엔드 리조트 브랜드 안토도 크리스마스 케이크를 출시했다. ‘600년 은행나무’와 ‘메리고라운드’로 하루에 단 3개만 한정 제작한다. 가격은 11만9천원이다.

매년 최고가 경신…4년 새 100% 상승

특급호텔의 크리스마스 케이크 가격은 지난 2021년부터 고공행진하기 시작했다. 당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홈파티 열풍이 불자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 호텔은 평시 케이크 최고가보다 약 20% 비싼 25만원짜리 ‘화이트 트리 스페셜 케이크’를 선보였다. 해당 케이크는 조기 품절을 기록하는 등 흥행에 성공했다.

이듬해인 2022년 조선 팰리스 호텔이 25만원 케이크를 출시했고 서울신라호텔이 이와 같은 가격의 ‘얼루어링 윈터’를 출시하며 도전장을 냈다. 이후 서울신라호텔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초고가 케이크 경쟁이 펼쳐졌다.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2025 크리스마스 케이크. (사진=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홈페이지)

특히 서울신라호텔은 2023년부터 가장 비싼 크리스마스 케이크라는 타이틀을 놓치지 않았다. 당시 30만원짜리 케이크인 ‘더 테이스트 오브 럭셔리’를 선보였다.

2024년에도 서울신라호텔이 크리스마스 케이크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같은 이름의 ‘더 테이스트 오브 럭셔리’로 가격은 40만원으로 책정됐다. 최고급 블랙 트러플 중 향과 맛이 가장 뛰어난 겨울 트러플을 주재료로 사용하고 트러플 양을 기존 대비 25% 늘린 영향이다. 여기에 샤또 디켐을 사용해 단맛과 함께 숙성된 과일 향도 더했다.

관련기사

매년 크리스마스 케이크 가격이 치솟는 까닭은 초고급 재료를 활용하고 수작업으로 제작하기 때문이다. 2021년 초고가 케이크 경쟁의 막을 열었던 조선 팰리스 호텔은 화려한 트리 디자인을 내세웠다. 서울신라호텔은 트러플을 주재료로 사용하고 있고 지난해부터 샤또 디켐도 케이크 제작에 활용했다.

안토 델리 크리스마스 케이크 컬렉션. (제공=한화호텔앤드리조트)

업계 관계자는 “연말을 기념해 구매하는 특급호텔 케이크는 단순히 케이크를 먹는 것이 아닌 경험과 감성을 소비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됐다”며 “또 가격이 높은 호텔 브랜드를 상대적으로 저렴한 식음료 영역에서 누릴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