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사흘째 GPS 전파 교란 공격…932건 신고 접수 "점차 수위 높여가나"

과기정통부 위기경보 '주의'단계 유지 속 비상대비 체계 가동

과학입력 :2024/05/31 23:44    수정: 2024/06/01 20:57

북한의 GPS 전파 교란 공격이 사흘째 지속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9일 새벽 5시50분부터 사흘째 발신지가 북한 강령・옹진 지역으로 추정되는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 혼신신호가 반복해서 탐지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이 혼신신호는 과기정통부 소관 전파감시시스템(연평・인천・강화・파주 사이트)에 반복적으로 탐지됐다.

자료:주파수를 교란시켜 드론을 착륙시키는 드론건 (사진=드론쉴드)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GPS 전파혼신 신고건수는 총 932건이다. 각각 항공기가 201건, 선박이 731건이다.

실제 피해로 이어진 사례는 없다. 다만, 인천 해상을 오가는 일부 여객선과 어선에서 내비게이션이 오작동하는 일이 벌어졌다.

과기정통부는 GPS 전파혼신 위기경보 '주의' 단계를 유지하면서 비상대비 체계를 가동 중이다.

국토부, 해수부 등 관계부처와 긴밀한 공조를 통해 실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항공기 지상항법시설・관성항법장비 사용, 선박 레이더・항로표지・지형지물 활용 등 예방조치를 수행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르면 위기 경보 '주의' 단계는 관심-주의-경계-심각 중 두 번째다.

관련기사

위기징후 활동이 비교적 활발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는 경향이 나타나는 상태다.

한편 이에 앞서 북한은 대남 오물풍선 날리기에 이어 방사포 발사, GPS 전파 교란 등 공격을 다양화하며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