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이 지분을 보유한 국·내외 핵심광물 광산 수와 그 귀속 생산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찬가지로 자원 부존량이 부족한 일본보다도 자원 확보 수준이 크게 적은 편으로 분석됐다.
4차산업 핵심광물 수입은 특정국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아, 향후 공급망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지난 2022년 기준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 28일 이같이 밝혔다.
한국 기업이 보유한 핵심광물 광산 수는 36개로 주요국에 비해 적고, 핵심광물 귀속 생산량은 전 세계의 1% 이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기업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핵심광물 광산 수는 36개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에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 중국(1천992개)과 미국(1천976개)뿐 아니라 국내 자원 부존량이 부족한 일본(134개)에 비해서도 크게 적은 수준이었다.
한국 기업의 귀속 생산량 비중은 핵심광물 7종 모두 전 세계 총합의 1% 이하였다. 반면 일본 기업은 동기간 동(4.1%), 아연(3.0%), 연(2.8%), 철광석(3.0%), 니켈(1.7%), 코발트(2.0%)에서 생산량 비중이 한국 기업보다 높았다.
한경협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4차산업 핵심광물인 니켈, 리튬, 코발트의 세계 생산량은 특정국에 편중됐다. 지난해 전 세계 생산량 대비 니켈은 인도네시아가 53.1%, 리튬은 호주가 46.9%, 코발트는 콩고민주공화국이 68.6%의 비중으로 세계 생산량 1위를 차지했다.
한경협이 UN 세관통계 데이터베이스 '컴트레이드'의 2022년 교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4차산업 핵심광물 수입은 특정국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차전지에 활용되는 황산니켈은 핀란드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68.2%, 산화리튬과 수산화리튬은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87.9%, 산화코발트와 수산화코발트는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72.8%에 달했다.
한경협은 핵심 광물이 경제안보와 결부돼 있어 안정된 수급이 중요하므로, 국가전략적인 관점에서 해외 광산 지분을 늘리고, 민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간 한국 기업은 주로 장기 공급 계약으로 해외 자원 개발에 진출했으나, 지분 보유를 통한 핵심광물 확보도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에서 우위가 있어 전략 다각화 측면에서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는 조언이다.
관련기사
- 메탈 가격 바닥 찍었나…리튬·니켈 공급 축소 움직임2024.02.26
- 가격 하락에 규제까지…배터리 업계, 메탈리스크 극복 안간힘2024.02.20
- 리튬이온전지에 쓰는 희유금속, 탈중국 방법 찾다2024.05.02
- 산업부, '리튬 매장량 1위' 칠레와 광물 공급망 협력 논의2024.05.16
민관 협력의 일례로는 일본이 정부가 공공 자원개발 전문 독립행정법인(JOGMEC)을 설립해 기업의 자원탐사 프로그램 단계부터 적극적인 투자와 채무보증을 실시하는 등 민관이 협력하여 광물자원을 확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이 핵심광물을 확보하려면 실제 생산이 시작되기 전 단계부터 막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한게 현실”이라며 “민간의 해외 자원개발 투자에 대한 정책 금융 프로그램 강화, 자원 수출국 정부와의 국제 협력 네트워크 확대, 자원 확보의 컨트롤타워로 기능할 수 있는 민관 컨소시엄 조성 등 정부의 종합적 지원 패키지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