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공동번영, 디지털 권리장전 정신 살펴야”

강도현 차관 "AI 시대 다음 100년 고민해야"

방송/통신입력 :2024/05/22 17:52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은 “AI 시대에서도 모두가 다음 100년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도현 차관은 22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AI 글로벌 포럼 전문가 세션에서 기조연설을 맡아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 인류는 두려움을 가지면서도 신기술의 혜택을 누려나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 차관은 특히 “디지털 권리장전을 이제 정책으로 변모시켜야 한다”며 “이런 과정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는 새로운 AI 시대의 디지털 질서 확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공개된 디지털 권리장전은 디지털 심화 시대에 맞는 국가적 차원의 기준과 원칙을 제시하고 보편적인 디지털 질서 규범의 기본방향을 담고 있다.

국제사회가 함께 추구해 나갈 모범적인 미래상으로 디지털 혁신을 추구하면서도 그 혜택을 모두가 정의롭고 공정하게 향유하는 디지털 공동번영사회를 제시한 점이 특징이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권리장전에 담긴 포용을 AI 시대에 적용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은 “모든 국가에서 디지털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각국에 따라 다른 이해도가 필요하다”며 “누구도 소외 받지 않고 디지털과 AI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성웅 아마존웹서비스코리아 AI머신러닝 정책책임자는 “디지털 권리장전은 일종의 가드레일 역할을 하며 책임 있고 안전한 AI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AI와 같은 신기술이 도입될 때 디지털 포용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은 “디지털 권리장전은 디지털 변혁이 심화하는 과정에서 형평성과 인류 공동 번영 등 보편적인 가치를 고려하도록 했다”며 “기술이 사회의 안전을 위협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제리 쉬한 OECD 과학기술혁신국장은 “AI와 같은 기술은 인간 중심적인 방식으로 발전해야 한다”며 “인간을 위한 기술 발전이 우선 과제로 인권이 디지털 정책에서 가드레일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