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씨소프트, 김택진-박병무 '원팀 경영' 시너지 본격

김택진 박명무 공동대표 체제 출범

게임입력 :2024/05/13 08:21    수정: 2024/05/13 08:41

엔씨소프트가 김택진-박병무 공동대표 체제로 새 출발에 나선 가운데, 두 공동대표가 개발과 경영 부문에서 괄목할만한 시너지와 성과를 낼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13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엔씨소프트가 창사 이래 첫 공동대표 체제를 시작한지 40여일이 지났다

이 회사의 공동대표 체제는 지속 성장, 신성장 동력 발굴, 글로벌 기업 도약 등을 목표로 출범했다.

엔씨소프트 공동대표 체제를 이끌고 있는 김택진 대표(좌), 박병무 대표 (우).

김택진 대표는 지난 3월 개최한 공동 대표 체제 설명회에서 "각 공동대표의 전문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원팀(One Team)으로 시너지를 발휘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김택진 대표는 엔씨의 핵심 경쟁력인 게임 개발과 글로벌 사업 확장에, 박병무 대표는 경영 전문가로서 내실 경영과 신성장 동력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10일 2024년 1분기 실적 발표 자리에선 두 공동대표가 추진 중인 핵심 과제와 현황도 밝혔다. 이날 신작 라인업 강화와 경영 내실화를 위한 다양한 해법을 공개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김택진 대표, 게임 개발에 집중∙∙∙2025년까지 신작 10종 출시

올해부터는 김택진 대표가 주도하는 게임 개발 부문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내년 2025년까지의 신작 론칭 계획을 구체화했기 때문이다.

먼저 올해 난투형 대전 액션 '배틀크러쉬' 수집형 RPG '프로젝트 BSS' 기존 IP를 활용한 새로운 장르의 게임 총 3종을 선보인다.

또한 '쓰론 앤 리버티(TL)’ 북미 유럽 등 글로벌 서비스 '블레이드앤소울2' 중국 진출 '리니지2M' 동남아 서비스 등 기존 IP의 글로벌 확장도 적극 추진한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공동대표.

내년 이후 출시되는 엔씨표 신작에 대한 기대는 더욱 크다. '프로젝트G' '아이온2' 'LLL'과 같은 대작 타이틀 3종의 출시 계획을 밝혀서다. 여기에 '레거시' IP를 활용한 신규 장르 게임 2종, 캐 쥬얼 게임 2종 등의 미공개 신작 일정도 공개했다. 계획대로 신작 7종이 모두 출시된다면 엔씨소프트 창립 이래 가장 많은 게임을 론칭하는 해가 될 전망이다.

엔씨는 신작의 성공적인 론칭을 위한 새로운 게임 리뷰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도입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최신 게임 트랜드를 파악하고 개발에 반영하기 위해 내부에 게임 리뷰 위원회를 신설하고, 외부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개발에 반영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외부 테스트를 적극 실시할 계획이다. 엔씨는 향후 2년 간의 출시 라인업 10종을 공개할 수 있는 것은 게임 리뷰 시스템을 도입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외부 협력도 강화한다. 김택진 대표는 지난 공동대표 체재 설명회를 통해서 글로벌 시장 확장에 주력하고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지난해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데 이어 지난 3월에는 구글과의 글로벌 협업 소식을 전한 게 대표적이다. TL 글로벌 출시, 블소2의 중국 출시 등 글로벌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해 아마존게임즈와 텐센트를 직접 만나 구체적인 협력을 추진 중이다.

엔씨는 지난 주 1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리니지2M 동남아시아 론칭을 위해 현지 유수 기업과 조인트 벤처 설립을 추진한다는 계획도 처음 발표하기도 했다.

박병무 대표, 경영 내실화와 주주가치 제고 주력...부동산 자산 매각 추진-M&A 검토

박병무 대표는 실적 하락에 빠진 엔씨(NC)의 구조 개선을 위한 경영 내실화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박 대표는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 참여해 자원분배, M&A 계획, 주주가치 제고 계획 등 구체적인 경영 방향을 발표했다.

박병무 대표는 "자원의 효율적인 분배와 관련해 엔씨의 부동산 보유 자산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삼성동 타워를 매각해 신사옥 건축 비용을 충당하겠다"고 전하면서 자사주에 대해서는 "최근 공시한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를 통해 총 10% 수준의 자사주를 유지하고 이를 향후 M&A 자금으로 활용하겠다"고 설명했다. 추가적인 자사주 매입이 있어 10%가 초과된다면 소각을 검토하겠다는 입장도 전했다.

관련기사

박병무 엔씨소프트 공동대표.

M&A에 대해서는 '엔씨소프트와 시너지' '지속 성장 가능' '재무적 성장' 세 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박병무 대표는 "다수의 회사를 검토해 상당히 적은 수로 압축해서 집중 검토 중"이라며 "1~2개 회사에 대해서는 초기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힌 상태다.

이와 함께 박병무 대표는 지난 9일 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변화 방향 설명회' 자리에서 "최근 회사의 어려운 상황에 대해 경영진으로서 복잡한 심경과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굉장히 죄송스럽다. 더욱 강한 엔씨로 탈바꿈해 직원과 주주, 세상으로부터 신뢰와 기대를 회복하겠다"며 각오를 보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