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공행진하는 BYD, 시장확장 걸림돌은 노조결성·브랜드 한계

KATECH, 'BYD 글로벌 확장 전략의 명과 암' 보고서 발표

카테크입력 :2024/03/25 06:00

지난해 세계 최대 전기차 판매량을 보인 중국 비야디(BYD)가 내수 시장 성장과 수직 공정 최적화 등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 장악에 나서고 있지만, 해외 시장에서의 리스크에 직면하는 향후 2~3년간 성장 가능성에 대한 검증을 거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한국자동차연구원(KATECH)은 'BYD 글로벌 확장 전략의 명과 암'이라는 산업 보고서를 발표하며 "BYD는 주요 완성차 기업의 로드맵을 고려해 향후 2~3년 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타사 간 직접 격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2022년 신에너지차(순수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전문 기업으로 탈바꿈한 BYD는 지난해 연간 전기차 판매 대수를 288만대를 넘겨 전년 대비 58.5% 성장했다. 4분기에는 순수전기차 판매량이 테슬라에 필적하기도 했다. 다만 중국 내수 판매가 96.1%(277만대)를 차지해 해외 판매는 미미하다.

비야디(BYD)가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한 재팬 모빌리티쇼 2023에 마련한 전시장. (사진=지디넷코리아)

KATECH는 "BYD가 최근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을 본격화하기 위해 올해 태국에서 첫 현지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라며 "브라질, 헝가리, 멕시코 등지에도 완성차 생산시설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BYD는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의 이점을 가져가기 위해 C세그먼트, 중가 이하의 공백을 선점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아토3, 돌핀 등 주로 소형 위주의 볼륨모델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전략이다.

KATECH는 "이 전략은 자체 부품 조달, 중국 내 생산을 통한 조립비용 최소화 등 코스트 우위에 힘입은 것으로서 여타 완성차 기업이 수익성 한계로 BEV 라인업 확장에 분투하는 가운데 BYD의 강점을 보여준 사례"라고 평가했다.

BYD 전기 승용차 판매량 추이 및 2023년 대표 수충 모델 (사진=한국자동차연구원)

그러면서 "지난해 유럽 내 판매된 내연기관차의 37%가 B세그먼트인데, 순수전기차는 17%만이 B세그먼트일 정도로 전기차 시장 공백이 존재하는 데도 불구하고 BYD나 유럽계 일부 기업 외에는 해당 시장을 공략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BYD는 유럽 시장 공략과 함께 현지 생산을 늘리려는 밑작업에 들어갔다. 이를 통해 일부 시장에서의 성공과 다양한 이점을 누리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KATECH는 "세계적으로 저가·소형 전기차 모델이 부족한 상황에서 BYD는 동남아, 중남미 등에서 총소유비용(TCO) 우위를 바탕으로 내연기관차의 교체 수요를 흡수해 신흥 시장의 성장에 확신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 것"으로 봤다.

완성차 기업 중 BYD의 브랜드 가치 순위 및 구글 검색에서의 상대적 빈도 (사진=한국자동차연구원)

또 KATECH는 "BYD가 현지생산을 늘리는 것이 선진국 및 일부 신흥국의 대중국 견제 정책에 따르는 각종 무역 장벽을 회피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런 BYD의 글로벌 기업화 전략에 불확실한 대외 여건과 급속성장에 가려진 브랜드의 한계가 들이닥칠 수 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KATECH는 "공급망 규제, 노동 여건 등으로 중국 외 시장에서 일부 우위 요소 상실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BYD가 해외 현지 생산을 확대하면 숙련도 대비 낮은 인건비 등 중국 특유의 생산 이점을 활용하기 어려워지며 국가별로 상이한 근로 조건, 조직 문화로 인한 경영 리스크도 상존한다"고 했다.

KATECH는 이에 대한 예로 테슬라가 무노조 경영을 추구했지만, 스웨덴과 덴마크 등지에서 노조와의 갈등을 겪은 사례를 짚었다.

관련기사

또한 대중화 시장 선점을 목표로 한 발전 궤적으로 인해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가 부재한 부분도 존재한다. BYD는 중국이란 우호적 환경 속에서 특유의 역량을 발휘했으나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전략은 유보해 온 측면이 있다.

이에 대해 KATECH는 "확고한 이미지가 부재한 BYD 브랜드의 한계점은 일부 현실화하고 있는데, 영연방 국가 중심으로 나름의 헤리티지를 보유한 MG를 내세운 상해기차 대비 유럽 내 전기차 판매가 열위인 것이 대표적 사례"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