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국 정부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쩐의 전쟁'에 돌입한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도 경쟁에 가세했다. AI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막대한 정부 예산을 투입키로 한 것이다.
20일 뉴욕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AI에 투자하기 위해 약 400억 달러(약 53조6천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 관계자들은 최근 몇 주 동안 미국 벤처 캐피탈 회사 안데르센 호로비츠 등 여러 금융사들과 잠재적 파트너십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안데르센 호로비츠와 야시르 알-루마얀 PIF 총재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 사무소를 설립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PIF 관계자들은 안데르센 호로비츠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펀드가 어떻게 운영될 지 등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가 확정되면 사우디는 인공지능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는 나라가 된다. 사우디는 자산이 9천억 달러(약 1천206조원)에 달하는 국부펀드를 투자에 동원할 예정이다. 400억 달러의 투자 규모는 미국 벤처 캐피털 회사들의 투자 규모를 크게 능가한다.
사우디의 투자 논의는 오픈AI와 엔비디아와 같은 인공지능 회사를 찾기 위한 투자자들의 열기가 뜨거운 가운데 이뤄진다는 점에서 주목 받는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최근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정부로부터 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반도체 제조를 위한 막대한 투자금을 유치한 바 있다.
뉴욕타임스는 "올 하반기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공지능 펀드에 다른 벤처 캐피탈들도 참여할 수 있다"며 "사우디에선 칩 제조업체와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포함해 AI와 관련된 다양한 스타트업을 지원하는데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생성형 AI 챗봇 '챗GPT'의 등장으로 막이 오른 AI 경쟁은 사우디 외에도 프랑스, 이탈리아 등 여러 나라들이 참전하며 점차 국가 단위로 확전하는 모양새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프랑스, 영국, 독일,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6개국이 지금까지 AI 개발에 투자하기로 한 금액은 총 400억 달러에 달한다.
프랑스에선 지난 13일(현지시간) 범부처 AI 위원회가 정부에 향후 5년간 매년 50억 유로(약 7조원)를 투자하라고 권고해 주목을 받았다. 또 생성형 AI가 프랑스 경제에 미칠 영향과 전망이 담긴 130쪽 분량의 위원회 보고서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에게 보고됐다. 보고서에선 특정 업무 자동화를 통해 프랑스의 연간 경제 성장률이 두 배로 증가할 수 있고, 2034년엔 최대 4천200억 유로의 국내총생산(GDP)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위원회는 "향후 생성 AI 기술 발달로 연간 경제 성장률이 두 배가 될 수 있다"며 "프랑스가 AI 경제를 놓치면 우리의 경제적 가치를 다른 나라에 점점 더 빼앗길 뿐 아니라 다른 활동 분야도 약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프랑스의 민간·공공 부문에서 생성 AI 투자 규모가 미국의 20분의 1 수준"이라며 "단기적으로 100억 유로 규모의 투자 펀드를 조성해 미스트랄AI 같은 촉망받는 스타트업에 투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탈리아에서도 최근 AI 프로젝트를 촉진하기 위해 30억 유로 규모 민관 투자 펀드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탈리아 AI 투자 펀드는 일단 국책은행 CDP가 초기 자금으로 10억 유로를 출자해 조성한 후 향후 민간 부문에서 추가로 20억 유로를 조달할 예정이다.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선 지난해 말 AI 기업 AI71을 설립하고 자체 대규모언어모델(LLM) '팰컨' 시리즈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알 반나이 아부다비 첨단기술연구위원회 위원은 "지난 50년 동안 석유가 국가를 이끌었지만, 지금은 데이터가 새로운 석유"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말 인도에서는 AI 스타트업 사르밤이 인도어 모델 구축을 위해 4천100만 달러(약 530억원)의 투자를 받은 데 이어 또 다른 AI 스타트업 크루트림이 인도 최초의 다언어 LLM을 공개하며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미국에선 AI 분야에 대한 예산을 늘리고 있는데,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지난 11일 의회에 제출한 2025 회계연도(2024년 10월~2025년 9월) 연방 예산안에서 AI 예산은 200억 달러(약 26조원)를 웃돌았다. 이는 2년 전보다 12억 달러 늘린 금액이다.
중국은 올해 AI를 포함한 과학기술 분야 예산을 10% 늘려 68조6천억 위안(약 1경3천조원)으로 책정하고 AI산업 육성책인 'AI+ 행동'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 韓 스타트업 라이너, 글로벌 생성형 AI '4위' 차지2024.03.19
- "법률 상담도 AI가?"...법조계, 인공지능 도입 본격 '시동'2024.03.19
- AI가 처음 내놓은 배스킨 아이스크림, 어떻게 만들어졌나2024.03.19
- 지코어, 100개 언어 지원하는 AI 자동 음성인식 서비스 출시2024.03.19
반면 우리나라의 AI 투자 현황은 녹록지 않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에 따르면 2013∼2022년간 한국의 AI 민간 투자 누적액은 56억 달러에 그쳐 세계 9위에 머무른 반면 선두를 달리는 미국의 누적 투자액은 44배인 2천489억 달러에 달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한국이 AI 후발주자로서 존재감을 드러내려면 AI 밸류체인을 면밀히 분석해 가장 효율적인 투자 분야를 선정해야 한다"며 "정부 차원에선 AI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