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인재모시기 눈치싸움...인력난 속 연봉·처우 '러브콜'

공시 기준 급여 삼성SDI>SK온>LG엔솔 순...차세대 제품 관련 경력 우대

디지털경제입력 :2024/02/21 09:05    수정: 2024/02/21 15:11

국내 배터리 업계가 인재 확보를 위해 물밑 경쟁을 펼치고 있다. 차세대 제품 개발을 위한 경력 채용에 적극 나서며 인재 모시기가 한창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은 최근 경력 채용 공고를 올렸다. 모집 분야는 다양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환경보건과 건설 외 차세대 배터리 셀 개발과·차세대 팩 설계 경력 사원을 모집 중이다. 

국내 배터리 3사 CI

SK온은 ▲이차전지 비전 및 비파괴 검사 측정기술 ▲소재합성(양극소재·전구체) 연구개발 ▲이차전지 장비 핵심 요소기술 개발(로봇·센서·부품재질) 등의 분야에서 경력 채용에 나섰다. 설비·셀·공정·부품 개발은 채용 기한에 제한을 두지 않고 수시로 뽑는다.

삼성SDI도 사업부별로 수시로 경력을 채용 중이다. 

배터리 3사에 재직 중인 직원들은 연봉과 복지 등을 저울질해 이직을 고민해볼 법한 시기인 셈이다. 

■ 배터리 3사 중 평균 급여액이 가장 높은 곳은?

우선 전자사업공시시스템 상에서 나타난 연봉으로만 봤을 때는 삼성SDI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이 가장 많고 LG에너지솔루션이 가장 적었다. 지난해 사업보고서가 아직 공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2022년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삼을 때 삼성SDI는 1억1천600만원, SK온은 1억600만원, LG에너지솔루션은 9천900만원이다.

공시 기준으로만 봤을 때 LG에너지솔루션 처우가 가장 낮을 수 있겠지만, 경력 채용의 경우 연봉을 인상해서 이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사진=사람인 홈페이지 검색화면)

다른 회사들과 달리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인재채용 플랫폼에도 공고를 확인할 수 있는데 '연봉 상승률 10%'이라는 태그가 달려 있다. 채용 지원자들의 눈길을 끌만한 요인이다. 하지만 이같은 인상률은 LG에너지솔루션 측에서 보장한 것이 아니라 채용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단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아직 임금단체협상(임단협)이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인상률을 알 수 없다"며 "(연봉상승률10%는)사람인 측에서 단 것이며, 경력 채용의 경우 개인의 경험과 역량에 따라 인상률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배터리3사가 우대하는 인재는?

이번 경력 채용에서 눈에 띄는 것은 차세대 배터리 개발 경험자들을 우대한다는 점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차세대 팩 구조설계 인재 중 항공 관련 규격 기반 부품 개발 경험자와 전기자동차(EV/HEV) 또는 전기 추진 항공기 관련 부품 개발 경력을 우대한다고 명시했다. 

(사진=LG에너지솔루션)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무인 항공기와 도시항공교통(UAM) 등 미래 항공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리튬황 배터리 개발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차세대 배터리로 꼽히는 리튬황배터리는 황(S) 나노물질을 이용한 이차전지다. 이론적으로 리튬이온배터리보다 5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무게도 가볍다.

SK온은 원통형·각형 셀 개발 경력을 우대한다. SK이노베이션 자회사인 SK온은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보다 뒤늦게 배터리 사업에 뛰어든 후발주자다. 그동안 파우치형 배터리를 주로 생산했기에 각형과 원통형 개발 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SK온이 경쟁사 대비 좋은 처우를 제시하며 인재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삼성SDI 원통형배터리 (사진=삼성SDI)

업계 관계자는 "핵심부서에서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연구원은 바로 이직이 어렵겠지만, 직업의 자유가 있기 때문에 경쟁사로 이직하는 것에 제한은 없다"며 "연봉을 제외하더라도 기업별로 금전적 가치로 평가할 수 없는 복지 처우 등이 따르기 때문에 이런 부분도 고려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원자에게 영업비밀 침해를 주의해달라는 내용 (사진=각 사 채용 홈페이지)

한편, 배터리 3사 채용 공고글에는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경고 문구를 적시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구 SK이노베이션)이 과거 경쟁사 이직과 기술 유출 문제로 조 단위의 대형 소송전을 치렀을 만큼 기업의 미래가 걸린 예민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업계 관계자는 "중국과 유럽 등 해외 기업에서도 국내 인재들을 영입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배터리 인력난은 심화되고 있다"며 "(경쟁사 기술유출)논란이 있은 후 타사 직원을 공격적으로 영입하는 분위기는 아니지만, 연봉(급여)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기적 비전보다 처우에 대한 어필이 주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