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체라, 국내 대형 영상처리 및 이해 학술 대회서 논문상 수상

논문 '멀티 모달 학습을 사용한 메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반의 얼굴 위조 판별'로 장려상 받아

컴퓨팅입력 :2024/02/05 22:30

 영상인식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알체라(대표 황영규)는 자사의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진이 제주도에서 열린 ‘제36회 영상처리 및 이해에 관한 워크샵 2024(Image Processing and Image Understanding, IPIU 2024)’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고 5일 밝혔다.

'

이번 'IPIU 2024'는 한국컴퓨터비전학회,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한국정보과학회, 대한전자공학회, 한국통신학회가 공동 주최해 ▲영상 처리 ▲영상 이해 ▲패턴 인식 ▲영상부호화 ▲기계학습 등을 다룬 영상인식 AI 분야 대형 학술 대회다.

알체라 연구진은 ‘멀티 모달 학습을 사용한 메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반의 얼굴 위조 판별’ 논문에서 얼굴 위조 판별 기술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를 NLP, 비전 기술을 활용 및 학습시켜 멀티 모달(Multi Modal)모델 고도화의 토대를 마련했는데, 특히 정형 데이터를 비정형 데이터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 고도화된 메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Meta Prompt Engineering, MPE) 기법을 제안해 시선을 모았다.

알체라가 논문에서 발표한 주요 기술은 얼굴 위조 판별의 성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빛, 배경, 인종, 취득 기기의 종류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자연어 처리 기술과 비전AI를 결합한 학습 방법이다. 이를 통해 얼굴 위조 여부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 뿐 아니라 학습 데이터에서 취득할 수 있는 여러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프롬포트 엔지니어링을 통해 교차 도메인에서 높은 성능을 구현, 이를 통해 HTER(Half Total Error Rate), *uC(Area under the ROC Curve), TPR@FPR=1%(True Positive Rate at 1% False Positive Rate) 지표에서 향상된 결과를 선보였다.

알체라 연구원들이 최근 제주에서 열린 '제 36회 영상처리 및 이해에 관한 워크숍'에서 학술대회 논문상을 받고 있다.

 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얼굴위조 판별 기술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비대면 금융 거래시 신원확인 에 유용히 사용된다. 특히 지난해 9월, 금융위원회가 제시한 금융 분야 보이스피싱 대응 방안 중 하나로, 비대면 계좌개설 시 본인확인 절차를 강화함에 따라 신분증 도용을 통한 금융 범죄를 예방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알체라는 지난해 9월 금융결제원의 ‘신분증 안면인식 공동시스템 구축 사업’ BMT에서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금융결제원 주관 얼굴인식 1:1 매칭과 얼굴 위조 판별 성능 테스트를 모두 통과하며 해당 사업을 수주했다고 회사는 밝혔다. 또 2022년에는 미국 iBeta의 '얼굴 위-변조 탐지 성능(PAD)'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통과하며 ISO/IEC 30107-3 국제표준을 준수하는 성능도 구현했다.

관련기사

조민국 알체라 연구소장은 "금융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영역에서 활용하고 있는 알체라의 얼굴 위조 판별 기술은 국내 최고의 기술력이라고 자부한다"면서 "멀티 모달 학습을 통해 얼굴 위조 판별 성능 향상, 데이터 수집 시간 단축 등 여러 이점을 활용해 우리 핵심 기술인 ‘메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을 고도화해 높은 퀄리티의 서비스를 통한 안전한 기술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알체라(ALCHERA)는 2016년 6월 설립됐고 2020년 12월 코스닥에 상장했다. 알체라의 영상인식 AI 기술을 총칭하는 콘셉트와 'SMART VIEWING(스마트뷰잉)'을 근간으로 신원확인 솔루션, 출입 및 근태관리 솔루션, 영상관제 솔루션, 산불 현상을 감지하는 ‘FireScout’ 등 일상과 비즈니스, 사회 전 분야에 인공지능 인식 기술을 적용시키고 있다. 현재까지 알체라의 AI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는 3.5억대가 넘는다고 회사는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