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건강] 신장에 좋은 식습관을 알아보자

적절 식이요법으로 만성 신부전 악화 지연 필요

헬스케어입력 :2024/01/22 15:45    수정: 2024/01/22 20:43

식이요법을 통한 만성 신부전 진행을 완화시켜야 한다는 전문가 주장이 나왔다.

몸에 필요하지 않은 노폐물과 수분을 내보내는 일을 하는 신장이 장기적으로 손상돼 발생하는 ‘만성 신부전’이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12년 13만7천3명에서 2022년 29만6천397명으로 10년 새 2배 이상의 만성신부전 환자가 진료를 받았다.

신장질환은 80% 이상 진행이 돼야 자각증상이 나타난다. 한번 손상이 되면 원래대로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조기 건강관리가 요구된다. 식이요법은 대표적인 만성 신부전 관리방법 가운데 하나다.

사진=픽사베이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신장내과 천가영 과장에 따르면, 식사요법의 기본은 신장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 몸 속 노폐물의 양을 줄이고 수분과 전해질의 정상 농도를 유지 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요리를 할 때는 소금보다 간장으로 간을 맞추거나 싱겁게 먹도록 노력해야 한다.  식품 원료에 염분 성분을 확인하는 습관도 갖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열량이 부족하면 우리 몸은 자신의 단백질을 분해시켜 필요한 열량을 보충하려 한다. 때문에 사탕·꿀·젤리 등을 조금씩 자주 섭취해 열량을 보충해야 한다. 음식 조리 시에는 식물성 기름을 충분히 넣어 열량을 보강해야 한다.

단백질은 보통 권장량의 50%~60% 정도로 줄이는 것이 신장 기능의 지연을 막는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천가영 과장은 섭취량을 줄이는 것보다 우유·달걀·생선·고기 등 단백질 함량이 높은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권고한다.

관련기사

단백 대사물질이 몸에 쌓여 독소로 작용하는 것을 막으면서도 만성 신부전에 동반되는 영양 부족현상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천 과장은 “근거 없는 민간요법이나 다른 사람들의 부정확한 충고를 믿고 자가 치료를 하는 경우 치료시기를 놓칠 뿐만 아니라 위험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라며 “만성 신부전 환자의 식사는 반드시 전문의의 처방과 영양사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