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신용등급 줄하향…PF 우발채무 리스크 우려 ↑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PF 시장 부정적 영향 우려"

금융입력 :2024/01/02 16:44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전반에 비상이 걸렸다. 이런 가운데 신용평가업계가 건설사 전반에 대한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며 PF 우발채무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하이투자증권 배세호 연구원은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이 단기적으로 금융업·건설업 신용등급과 PF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워크아웃이란 채권단 75% 이상 동의로 일시적 유동성을 겪는 기업에 만기 연장과 자금 지급 등을 해주는 제도다. 시장에선 올해 태영건설이 해결해야 하는 우발채무 만기 규모를 3조6천27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 태영건설 본사. 2023.12.28/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배세호 연구원은 “태영건설이 시공사로 참여한 PF건들에 대해 자금보충확약 등 신용공여를 한 금융업계의 손실 발생 가능성이 있다”며 “간접적으로는 건설사의 단기자금 융퉁이 경색될 수 있고 자산유동화 기업어음(PF-ABCP), 전자단기사채(ABSTB) 등에 대한 차환 발행이 어려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신용평가업계는 각 건설사의 PF 우발채무 리스크를 걱정하며 신용등급과 전망치를 내리는 추세다. PF 우발채무란 건설사가 시행사에 대해 보증한 PF 대출을 시행사 부도 등으로 인해 떠안게 되는 채무를 말한다.

지난달 말 한국기업평가는 GS건설의 무보증사채(A+)와 기업어음(A2+) 등급을 각각 ‘A’, ‘A2’로 하향 조정했다. 동부건설의 기업어음 및 전단채 등급도 종전 ‘A3+’에서 ‘A3’로 낮췄다. 이 밖에 태영건설(A-)과 신세계건설(A)의 무보증사채 전망치도 각각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건설사 신용등급이 줄하향된 이유는 주택경기 개선세가 뚜렷하지 않은 가운데 건설사의 자금조달 비용 증가 등으로 사업성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상위 20개 건설사의 미수채권 규모는 31조4천억원으로 19조9천억원을 기록한 2021년 대비 57.78% 증가했다.

(그래프=한국기업평가)

한기평 김현 책임연구원은 “지난해 초 정부지원책 영향 등으로 PF 시장에 자금이 대거 공급됐고, PF 우발채무 리스크가 완화됐다”며 “하지만 하반기로 가면서 조달금리가 재차 상승했다”고 밝혔다.

김현 책임연구원은 “올해 경기 부진 및 고금리 지속으로 실질 구매력이 저하되고 있어 공격적인 분양가 책정이 용이하지 않고, 건설사 대손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준공후 미분양이 증가하는 등 대손 발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수익성 개선은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PF 우발채무 리스크가 현실화되어 건설사 전반의 자금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외형 축소에 따른 현금흐름 저하, 공사 미수금에 따른 자본부담, 금융환경 악화에 따른 자금 소요 등을 고려할 때 재무부담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건설업계 전반의 단기차입금 확대로 건전성 이슈도 커지고 있다. 단기차입금이란 회사가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부채를 뜻한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동부건설 현금성 자산은 583억원인 반면 단기차입금 규모는 4천189억원을 기록했다. 신세계건설은 현금성 자산과 단기차입금 규모가 각각 1천468억원, 1천700억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