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절반이 바닷물에 잠긴다…해수면 10년간 5.3cm 상승

생활입력 :2023/12/19 15:04

온라인이슈팀

지구 온난화 여파로 우리나라 해수면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추세라면 2000년뒤 울릉도 절반이 바닷물에 잠길 것으로 보인다.

해발 90m가량 되는 절벽아래에 마련된 울릉도 일주도로. © News1 DB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이 19일 발표한 1989년부터 2022년까지 34년간 전국 21개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평균 상승률. 울릉도는 연평균 5.31㎜씩 높아져 우리나라 평균 해수면 상승치(연평균 3.03㎜)보다 상승속도가 가팔랐다. (자료=해양수산부) © 뉴스1

19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이 1989년부터 2022년까지 34년간 전국 21개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매년 평균 3.03㎜씩 높아진 것으로 드러났다.

34년간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동해안이 연 3.44㎜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서해안(연 3.15㎜), 남해안(연 2.71㎜) 순으로 이었다.

관측지점별로 보면 울릉도가 연 5.31㎜로 가장 높았으며 군산(연 3.41㎜), 포항(연 3.34㎜), 보령(연 3.33㎜), 속초(연 3.23㎜) 등도 평균보다 해수면 상승률이 높았다.

문제는 해수면 상승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10년(2013년~2022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연 4.51㎜)은 지난 30년(1993년~2022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연 3.41㎜)보다 1.3배 가량 높아졌다.

이러한 해수면 상승 속도라면 울릉도의 경우 2000년 뒤에는 해안도로가 모두 바닷물에 잠길 전망이며 3000년 뒤에는 울릉도 절반가량이 잠겨 나리분지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사람이 살아가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나리분지는 200m(북쪽)~500m(동남부 서남부 안팎의 산지에 둘러싸여 있는 울릉도 유일의 평야지대다.

관련기사

또 울릉도 서남, 동남해안을 둘러싸고 있는 절벽은 해발고도 90m로 2000년 뒤에는 모두 바다속으로 사라질 판이다.

제공=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