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더 커질 것이란 전망과 함께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국 대선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는 12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2024년 세계경제통상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서는 ▲세계 경제‧환율‧원자재 등 내년도 수출 환경 ▲美 대선‧지정학적 리스크 관련 통상 이슈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한국무역협회 동향분석실 홍지상 연구위원은 ‘세계 경제 및 한국 무역 전망’ 발표를 통해 “내년 세계 경제가 2% 후반 성장세에 머물면서 세계 교역도 3% 초반 저성장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미국, EU 등 주요 선진국 소비 시장과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성장세 둔화 지속으로 제한적인 수출 여건이 이어질 전망이나, 중국의 추가 경기 부양책 등 경기 회복 요인도 주목해야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내년에는 AI 산업의 가파른 성장과 스마트폰, 노트북 등 글로벌 IT 기기 수요 회복으로 인해 반도체(21.9%), SSD(45.6%), 무선통신기기(7.1%) 등 주력 IT 품목이 수출 회복세를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산유국 감산 및 중동 리스크 등으로 인해 내년 중 브렌트유 국제 유가가 90달러 내외로 완만하게 상승하면서 수입도 소폭 증가하겠지만, 수출이 더 크게 성장하면서 무역 수지는 2021년 이후 3년 만에 흑자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했다.
김승혁 NH선물 김승혁 연구원은 ‘글로벌 금리 및 환율 리스크’ 발표를 통해 “美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내년 美 달러화는 약세가 예상되나 하반기에는 미국 경기 연착륙 기대감 속에 달러화 강세 요인도 상존한다"고 말했다.
이어 "원화 역시 수출 증가에 따른 무역 흑자 전환, 미국‧EU의 긴축 완화 등 강세 요인과 지정학적 리스크 상승, 주요국 경기 둔화 등 약세 요인이 혼재하나 올해와 비교해 원·달러 환율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원·달러 환율의 상하방 가능성이 모두 열려있어 환변동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수출 기업은 환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리아 PDS 수석연구원은 ‘원자재 관련 공급망 리스크’ 발표에서 “내년 원자재 공급망 리스크의 핵심 이슈는 중국의 자원 민족주의”라고 지적하면서, “중국은 미-중 갈등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금까지 사용하지 않던 핵심 광물 공급 제한 카드를 꺼내 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중 갈등으로 공급망 리스크가 올해보다 더 심화될 수 있어 자원 공급국의 생산 차질, 물류 불확실성, 수출 통제 가능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조성대 실장은 ‘세계 통상환경 점검 및 전망’ 발표에서 “2024년은 ‘슈퍼 선거의 해’로 미국, EU 등 약 40개국이 리더십 변화를 앞두고 있으며, 러-우 전쟁과 가자 지구의 긴장 등 불안정한 대외 환경 속 각국 통상정책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며 “미국의 경우 중국에 대한 ‘디리스킹’을 강조하고 있지만 사실상 ‘디커플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며, 그 과정에서 첨단‧친환경 산업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주요국의 산업 정책과 보호주의는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 무협 "내년 수출 반등할 것”…전년비 7.9% 증가 전망2023.11.30
- 한국은행 내년 경제성장률 2.1% 전망…0.1%p 또 낮췄다2023.11.30
- X, 美 대선 앞두고 정치 광고 금지 정책 삭제2023.08.30
- "AI가 내년 美 대선판도 가를 것"2023.05.01
미국 케이토 연구소 스콧 린시컴 경제통상부장 및 무역정책센터장은 ‘2024년 미 대선 전망과 미국의 통상 정책’ 발표를 통해 “2024년 미국의 무역 정책은 올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나, 중국에 대한 강경 노선에 힘입어 자국 우선주의와 보호주의 경향이 강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내년도 美 대선과 관련해 “미국 중서부 및 러스트 벨트에 위치하며 미국 대선 결과를 좌우하는 경합주 유권자들의 표심을 겨냥한 무역 정책과 선거 공약이 대두될 것”이라면서 “바이든-트럼프 재대결 시 양 후보 모두 제조업 육성, 바이 아메리카 정책의 더욱 강력한 추진 의지를 내세울 것”이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