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력 1등 '물곰' 새 종, 국내 연구진이 찾았다

극지연구소, 북극에서 신종 완보동물 발견···'라마조티우스 그로엔란덴시스'로 명명

과학입력 :2023/11/29 13:29

달에서도 살아남는다는 '지구 최강의 생물' 물곰의 새 종을 국내 연구진이 발견했다. 

극지연구소(소장 강성호)는 북극 그린란드 이끼에서 신종 완보동물(물곰)을 발견했다고 29일 밝혔다. 

극지연구소 김지훈 박사와 고생물연구팀은 2019년 그린란드에서 채집한 이끼에서 신종 완보동물을 발견, '라마조티우스 그로엔란덴시스(Ramazzottius groenlandensis)'라고 이름붙였다. 라마조티우스는 생물 분류에 따른 이름이고 그로엔란덴시스는 '그린란드'를 의미한다.

라마조티우스 그로엔란덴시스는 0.15~0.4㎜ 크기의 초식 동물로 미세조류를 먹는다. 등 쪽의 울퉁불퉁한 다각형 표면과 몸통에 보이는 여러 개의 갈색 줄무늬가 특징이다.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라마조티우스 그로엔란덴시스의 모습 (자료=극지연구소)

완보동물은 몸길이 1㎜ 이하의 작은 동물로, 물곰이라고도 불린다. 특수한 가사 상태를 이용해 일반적으로 동물이 살 수 없는 조건을 견뎌낼 수 있어 극지역이나 고산지대 같은 극한 환경에서도 발견된다.

완보동물은 분류학적으로 이완보강 (Class Heterotarigrada)과 진완보강 (Class Eutardigrada)으로 나뉜다. 이완보강은 진완보강과 달리 머리에 다수의 특징적 감각기관을 갖고 있다. 이 기관들은 물리적·화학적 자극을 감지해 생존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진이 발견한 신종은 분류학상 진완보강이지만, 이완보강과 같은 위치에 동일한 개수의 머리 감각기관을 가지는 특징을 나타냈다. 이 같은 특징 덕분에 신종이 완보동물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고 둘로 나뉘기 전 조상 모습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했다. 

현재까지 발견된 완보동물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약 9천 200만년 전 중생대 백악기 진완보강 완보동물 화석이며, 조상 완보동물의 화석이나 형태는 아직 알려진 바 없다.

관련기사

김지훈 박사는 "부족한 퍼즐 조각을 가지고 과거의 모습을 되살리는 것이 고생물학의 매력이자 어려운 점"이라며 "앞으로도 현생 동물과 화석을 복합적으로 연구해 완보동물의 진화 과정의 비밀을 더 밝혀내겠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줄로지컬 레터스(Zoological Letters)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