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타닉스 "맞춤형 AI 모델 추천부터 비용 관리까지 한번에"

'GPT인어박스' 첫 소개…멀티 클라우드에 적용 가능

컴퓨팅입력 :2023/10/18 16:24

뉴타닉스가 클라우드에서 활용 가능한 인공지능(AI) 서비스를 공개했다. 고객은 클라우드에서 이 서비스로 맞춤형 AI 모델 구축부터 추론, 데이터 훈련까지 할 수 있다.

뉴타닉스 인두 케리 클라우드 인프라 및 클러스터 부문 수석부사장은 18일 인터콘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닷넥스트 온 투어 서울' 기자간담회에서 AI 서비스 'GPT인어박스'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GPT인어박스는 풀스텍 형식으로 이뤄졌다. AI 모델 추천을 비롯한 데이터 훈련, 데이터 보안, 비용 최적화 기능 등을 한번에 제공한다. 고객은 온프레미스뿐 아니라 멀티클라우드 환경에서 GPT인어박스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AI 모델 개발·유지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줄인다. 이 서비스는 지난달 초 전 세계 정식 출시됐다.

뉴타닉스 인두 케리 클라우드 인프라 및 클러스터 부문 수석부사장.

케리 수석부사장은 GPT인어박스 강점으로 운영 간소화를 꼽았다. 기업 고객은 자사 운영 방식에 맞는 AI 모델을 GPT인어박스에서 추천받을 수 있다. 

그동안 기업 고객은 사업에 적합한 AI 모델을 찾기 어려웠다. 케리 부사장은 "현재 너무 많은 AI 모델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며 "사용자는 자사 사업에 가장 적합한 모델을 찾는 데 긴 시간을 들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GPT인어박스는 어떤 모델이 고객 사업에 적합한지 분석한 후 적합한 AI 모델을 추천한다. 고객은 추천 모델에 자사 데이터를 넣어 파인튜닝한 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그는 "기업은 GPT인어박스에서 빅테크 AI 모델이나 오픈소스형 모델을 자사에 맞게 바꿔서 활용할 수 있다"며 "더 빠르고 신속하게 나만의 AI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업은 자사 데이터를 모델에 넣을 때 데이터 유출이나 해킹을 걱정한다. 특히 클라우드상에서 이 과정을 거칠 땐 염려가 크다. 클라우드 외부로 기밀 정보가 새어 나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케리 부사장은 GPT인어박스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케리 수석부사장은 GPT인어박스를 통해 데이터 보안을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해당 플랫폼은 고급 데이터 보호 및 보안 기능을 별도로 갖췄다"며 "워크로드 안전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를 통해 고객은 기존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AI 모델을 클라우드에서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케리 부사장은 이러한 GPT인어박스가 기업의 AI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도 했다. 인두 케리 수석부사장은 "AI 모델 개발과 훈련에 드는 비용은 수십억 달러"라며 "모델 정교화, 추론, 보안 등에도 많은 비용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GPT인어박스는 해당 작업을 한 플랫폼에서 빠르고 안전하게 처리한다"며 "천문학적으로 드는 기업 AI 모델과 애플리케이션 개발 비용을 낮췄다"고 강조했다.

고객은 GPT인어박스에서 만든 AI 모델로 고객 응대 챗봇, 문서 검색·분석 도구, 코드 코파일럿 등 다양한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상에서 운영할 수 있다. 케리 부사장은 "현재 AI 비즈니스는 초기 단계에 머물렀다"며 "향후 AI 챗봇이나 분석 도구를 넘어 더 다양한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뉴타닉스 고객은 단일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AI 모델 구축부터 관리까지 한번에 진행할 수 있다.

뉴타닉스는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사용자가 단일 플랫폼에서 모든 앱과 데이터를 운영할 수 있는 솔루션을 지원해 왔다. 데이터 이동 복잡성과 플랫폼 운영 과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기업 슬로건이다. GPT인어박스 출시로 뉴타닉스 고객은 단일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AI 모델 구축부터 관리까지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이 외에도 뉴타닉스는 앱 개발자를 지원하는 '프로젝트 비콘'을 비롯한 '뉴타닉스 클라우드 클러스터' '멀티클라우드 스냅샷 테크놀로지' 솔루션 업데이트 내용을 소개했다. 케리 부사장은 "앞으로 데이터를 비롯한 모든 인프라 이동은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앱과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단일 통합 공간은 기업 인프라 필수 사항일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