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정, 초거대 AI로 'AI 일상화' 앞당긴다

[2023 디미혁] 초거대 AI, 공공·민간에 접목…글로벌 진출도 계획

컴퓨팅입력 :2023/09/25 19:55    수정: 2023/09/26 11:15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DPG)가 초거대 인공지능(AI)으로 공공·민간 영역에 'AI 일상화 시대'를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네이버 클라우드 하정우 AI혁신센터장은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3 대한민국 디지털 미래혁신대전 부대행사 '디지털플랫폼정부 진단 및 추진방향 컨퍼런스'에서 민간 클라우드로 AI 일상화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하정우 AI혁신센터장은 DPG 초거대 AI 태스크포스(TF)장을 맡고 있다.

하정우 AI혁신센터장은 "현재 기술 패러다임 자체가 바뀌었다"며 "DPG은 기존 전자정부를 넘어 새로운 시대를 개척할 것"이라고 했다. 앞으로 초거대 AI가 공공 업무와 민간 일상에 더 빨리 들어설 것이라는 의미다.

네이버 클라우드 하정우 AI혁신센터장은 초거대 AI가 공공 영역과 민간 일상을 윤택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정우 센터장은 초거대 AI가 공공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AI가 보도자료나 정책 보고서 작성 등을 돕는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그는 "공무원은 보도자료를 비롯한 리포트, 정책 보고서 등을 작성할 때 초거대 AI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며 "이를 통해 핵심 업무에 더 충실할 수 있고 현장을 더 둘러볼 기회를 얻는다"고 했다. "결과적으로 시민의 삶까지 덩달아 더 윤택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온다"고 덧붙였다.

하 센터장은 이를 위해 초거대 AI가 국회, 정부, 지방자치단체 문서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데이터 가공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공무원을 위한 보도자료 작성 봇 등을 만들기 위해 공공문서 데이터를 AI 모델에 학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대중에 공개 가능한 데이터로 모델을 학습해야 한다는 점도 당부했다.

초거대 AI는 민간 일상에도 스며들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청년을 위한 AI 챗봇을 예로 들었다. 정부가 청년 정책과 관련한 데이터를 AI 모델에 학습하면, 청년이 자신과 관련한 정책을 기존보다 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관련 혜택도 더 윤택하게 누릴 수 있는 결과를 얻는다. 또 복지 챗봇을 만들면, 시민은 복지 정책에 대해서도 더 잘 알 수 있다.

하정우 센터장은 AI를 통한 지역 특화 서비스도 세심하게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AI를 통한 지역 특화 서비스도 세심하게 챙겨야 한다고 했다. 한국어는 사투리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지방 사투리가 AI 서비스에 적용되지 않으면, 지방 사람들은 초거대 AI 서비스 활용에 어려움을 느낄 것"이라며 "결국 사용 빈도수가 줄고 디지털 격차는 벌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하정우 AI혁신센터장은 생성 AI 보안도 중요하다고 했다. 현재 생성 AI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DPG 자체적으로 TF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도 알렸다. DPG이 민간 기업과 다양한 협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 중견 스타트업과도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산 초거대 AI 모델을 해외로 수출할 목표로 세웠다.

향후 DPG은 초거대 AI 모델을 해외로 진출할 계획도 알렸다. 그는 "공공영역에 초거대 AI 산업 생태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한 후 이를 추진하겠다"며 "특히 AI 모델을 보유하지 않은 국가에 수출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정우 센터장은 "한국 AI 모델 수출로 국가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글로벌 초거대 AI 리더십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