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론, 中 당국 업무 책임자 선임…관계 개선 총력

中 정부 및 반도체 산업에 정통…공급망 안정화 적극 시도할 듯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23/08/29 08:54

미국 주요 메모리 제조업체 마이크론이 중국 정부와 관련된 업무를 전담할 주요 인사를 임명했다고 홍콩 SCMP(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지난 28일 보도했다.

마이크론의 대(對)중국 정부 업무 책임자로 선임된 인물은 30년 이상 중국 정부와 기업에서 근무한 리신밍(Li Xinming)이다. 마이크론에 따르면 리신밍은 중국 공무 및 정책 경험이 풍부하며, 반도체 산업에 대한 이해도도 높다.

마이크론 텍사스 팹(사진=마이크론)

마니시 바티아 마이크론 글로벌사업부 부사장은 성명서를 통해 "20년 동안 중국에 뿌리를 둔 마이크론은 중국 시안의 후공정 팹을 비롯해 강력한 운영 및 고객 기반을 구축했다"며 "리신밍은 대정부 관계 고위 전문가로서 회사의 이익에 기여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마이크론의 이 같은 행보는 중국의 반도체 제재 수위를 낮추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최근 중국은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 압박에 맞서 미국 기업의 자국 내 활동 제한, 주요 원자재 수출 규제 등 여러 대응책을 꺼내들고 있다. 

대표적으로 중국은 지난 5월 "마이크론의 제품에서 국가 안보에 위험을 끼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발견됐다"며 중국 내 마이크론의 제품 판매를 사실상 금지시켰다. 마이크론의 전체 매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0% 내외로 적지 않은 수준이다.

이후 마이크론은 중국의 규제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을 적극 펼쳐왔다. 지난 6월에는 중국 시안 소재의 패키징 공장에 약 6억 달러를 신규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하며 "중국 비즈니스와 현지 직원들에 대한 우리의 변함없는 헌신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미국 정부 역시 중국과의 갈등 완화를 시도하고 있다.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은 지난 27일 중국을 방문해 반도체 수출 규제 등을 논의하기 위한 회담을 여러 차례 진행하고 있다. 

미국 백악관은 러몬도 장관의 중국 방문을 앞두고 "미국은 중국과의 '디커플링(분리)'를 원치 않으며, 공급망 탄력성 확보를 위한 '디리스킹(탈위험)'을 추구한다"는 의사를 전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