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알트먼의 '월드코인', 홍채정보 수집 논란

독일·케냐·영국 등서 조사 착수…사업 적법성·개인정보 보호 상황 살펴볼듯

컴퓨팅입력 :2023/08/09 13:32

샘 알트먼 오픈AI 대표가 공동 창업자로 참여한 '월드코인' 프로젝트에 대해 각국 당국이 조사에 착수하고 있다.

해당 프로젝트는 이용자 홍채정보를 기반으로 신원인증, 기본소득 지급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대신 가 전용 기기에 홍채 정보를 스캔하면 그 보상으로 코인을 지급한다.

하지만 월드코인이 민감한 개인정보인 홍채정보를 적정한 목적으로, 문제 없이 수집하고 관리하는지 논란이 제기되면서 독일, 케냐, 영국 등의 규제 당국이 조사에 착수했다고 코인데스크, 디크립트 등 블록체인 매체들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독일 금융감독청(BaFin)이 이날 월드코인 프로젝트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조사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다만 BaFin 관계자는 허가를 받지 않고 독일에서 웹, 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조사 대상이 된다고 설명했다.

월드코인 프로젝트의 홍채 인식 장치인 '오브'와 월드 앱

케냐의 경우 지난 5일 경찰이 여러 당국과 합동으로 나이로비 소재 월드코인 사무실을 찾아 회사 서류와 기기를 압수했다. 압수된 물건들은 범죄수사국에서 조사될 예정이다.

케냐 정부는 앞서 지난 2일 국내에서 월드코인 사업 활동을 금지시켰다. 운영의 적법성 및 데이터 보호 현황, 데이터 사용 계획들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월드코인 측은 사업자 등록 과정에서 사업 목적을 제대로 밝히지 않았다.

영국 개인정보 보호 관련 당국인 정보위원회(ICO)도 지난달 25일 월드코인 프로젝트를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ICO는 디크립트에 '고위험 데이터'로 분류되는 홍채정보를 처리하려면 데이터 보호 영향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고 했다.

프랑스 데이터 보호 당국인 CNIL도 지난 28일 월드코인에 대한 조사를 개시했다.

관련기사

월드코인은 국내에서도 일부 장소에 자체 기기를 설치하고 홍채 정보 등록을 받고 있다.

월드코인에 대한 우려는 가상자산 업계 내에서도 여럿 제기됐다. 지난달 24일 이더리움 창업자인 비탈릭 부테린도 블로그를 통해 월드코인 프로젝트가 홍채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 대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비롯한 각종 보안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