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반도체장비 수출규제 본격화…美 '중국 압박'에 힘 싣는다

박막·증착·노광 등 반도체 핵심 공정 장비 23개 품목에 적용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23/07/24 10:28    수정: 2023/07/24 13:19

일본 정부가 지난 23일(현지시간) 미국의 요청에 따라 대중(對中)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일본 아사히신문이 이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은 박막, 증착, 노광 등 반도체 핵심 공정에 필요한 장비 23개 품목에 대한 규제를 시행한다. 주로 EUV(극자외선) 등 첨단 반도체 제조 분야가 규제 명단에 올랐다.

(이미지=이미지투데이)

일본 기업이 이들 장비를 한국, 미국, 대만 등 총 42개 국가 및 지역 외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일본 경제산업성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중국은 42개 국가 및 지역에 포함되지 않아,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조치라고 업계는 보고 있다.

앞서 미국은 지난해 10월 자국 기술과 장비를 활용한 반도체 및 장비의 대중 수출규제를 발표한 뒤 일본, 네덜란드에 규제에 동참할 것을 촉구해왔다. 일본, 네덜란드 양국은 모두 이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네덜란드는 지난달 ASML을 비롯한 자국 내 주요 기업이 첨단 반도체 제조 장비를 중국에 수출하는 것을 제한하는 내용의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시행 일자는 오는 9월 1일부터다.

일본 역시 이번 조치를 통해 미국의 대중 반도체 규제 전선에 본격적으로 동참하게 됐다. 

다만 TEL(도쿄일렉트론), 히타치 등 일본 주요 기업들 역시 악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제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일본의 반도체 장비 수출액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0%에 달했다.

관련기사

중국의 보복 조치가 강화될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최근 중국은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로 전력반도체 등에 쓰이는 갈륨, 게르마늄 소재의 수출을 규제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중국 관영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지난 4일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공급망을 차단하고 국제 무역 질서를 위반한다면 중국도 필요한 조정을 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규제 강화의 가능성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