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차·보안솔루션·배터리 분야, 기업 미래 먹거리 부상

산업부, 12개 기업 사업재편계획 승인…신규 고용 600명, 투자 7천억 규모

디지털경제입력 :2023/06/27 15:15    수정: 2023/06/27 15:33

미래차 부품·첨단 보안솔루션·이차전지용 소재 분야가 국내 기업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으로 떠올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제38차 사업재편계획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12개 기업의 사업재편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맨 왼쪽)이 27일 열린 '제38차 사업재편계획심의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업재편심의위가 승인한 기업은 미래차(플라스틱 소재 윈도우 등 5건), 디지털(융합보안 솔루션 게이트 등 3건), 신소재·기타(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등 4건) 분야에 진출해 총 596명의 신규 고용과 6천874억원의 투자를 이행할 예정이다.

차량 내·외장 제조사인 지플라텍은 경량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한 윈도우 글라스 대체부품 개발에 나선다. 애니셀은 IT/OA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보안문서 유출 방지 시스템으로 재편한다. 전극재·형광체 등 전자제품 소재를 생산하는 대주전자재료는 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제조업으로 변화한다.

지난해 신설된 금융권의 사업재편 협력도 이어졌다. 이번 승인기업 가운데 지플라텍·애니셀 등 7곳이 KB·신한·우리·하나은행 추천기업이며, 은행권 추천 승인기업은 8개월 만에 22개사를 기록했다. 또 정책금융기관은 사업재편과 산업구조 고도화 분야에 현재까지 10조원 규모 정책금융을 지원했고 올해 총 20조5천억원을 공급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서울 세종대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38차 사업재편계획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

한편, 사업재편 승인기업은 신속한 사업재편으로 연구개발(R&D)·특허 등 혁신 활동 증가와 더불어 매출액·영업이익 증가 등 경영개선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산업부는 ‘기업활력법’이 선제적 사업재편을 통한 기업경영 정상화와 산업경쟁력 강화라는 선순환 효과를 내고 있다고 판단했다.

장영진 산업부 제1차관은 “경제질서 변화와 복합위기 속에 그 어느 때보다 사업재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기업의 적극적 사업재편이 더 큰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2024년 일몰예정인 ‘기업활력법’ 상시화와 인센티브 강화 등을 위한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