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이번엔 배터리 친환경 규제...삼성·애플 '긴장'

일체형 일변도→교체형 스마트폰 부활 가능성도…스마트폰 제조업체 '당혹'

홈&모바일입력 :2023/06/21 17:03    수정: 2023/06/22 09:05

유럽연합(EU)발 친환경 규제가 확산되자 스마트폰 제조 업계가 긴장한다. 이번엔 스마트폰 배터리 관련 규제 움직임이 있기 때문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한 스마트폰 제조업계는 최근 EU의 새로운 배터리 관련 법안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유럽의회는 지난 주 EU 내에서 판매하는 스마트폰 배터리가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돼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법안을 찬성 587, 반대 9, 기권 20표로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2020년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가 처음 제안한 배터리 재활용 관련 법안은 유럽이사회 승인 절차만 남겨 놓게 됐다. 

유럽이사회가 법안을 최종 승인하게 되면 EU 관보에 게재하게 된다.  

(사진=픽사베이 )

EU의 배터리 재활용 관련 법안이 본격 발효될 경우 국내 기업의 타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경우에 따라선 국내외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일체형 배터리가 아닌 교체형 배터리를 장착한 스마트폰을 개발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삼성전자는 유럽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는 만큼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 1분기 유럽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34% 점유율로 1위를 이어갔으며 애플과 샤오미가 각각 25%, 19%의 점유율로 2,3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2015년 갤럭시S6와 노트5부터 배터리 일체형을 채택했다. 애플의 아이폰 역시 배터리 일체형이다. 일체형 배터리는 교체형 배터리를 사용했을 때보다 방수와 방진에 용이하고 스마트폰의 두께를 더 얇게 만들 수 있다. 이로 인해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일체형 배터리 형태다. 

앞서 2020년에도 EU는 탈착식 배터리 디자인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으나 무산된 바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의회에서 법안이 통과됨에 따라 기업들도 대응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EU는 최근 강력하게 친환경 법안을 밀어붙이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모든 스마트폰과 태블릿, 카메라 등 전자기기 충전단자 표준 'USB-C' 타입으로 통일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애플은 결국 이에 대응해 아이폰15부터는 충전단자를 USB-C 타입으로 변경할 것으로 알려졌다. 

갤럭시 자가 수리 프로그램 (사진=삼성전자)

이번에 EU가 드라이브를 거는 '지속가능한 배터리법'으로 불리는 법안에는 수월한 배터리 탈부착 외에도 EU 시장에 출시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에 에너지 효율, 배터리 수명, 방수·방진 기능, 우발적인 낙하 방지에 대한 정보 등을 표시하거나 수리 가능성에 대한 점수를 표시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관련기사

해당 규칙은 유럽 의회와 이사회에 제출돼 약 2개월간의 검토를 거친 후 공동입법자들의 반대가 없을 시 공식 채택될 예정이다. 법안이 발효된 후 적용되기까지 유예기간은 21개월로 예상된다. EU는 해당 규칙에 따라 생산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2030년까지 매년 14TW 1차 에너지를 절약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법안이 확정된 것이 아니라 공식적으로 대응할 만한 상황은 아니기에 업계에서는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향후 법안 관련 공청회 등 이해관계자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을 때 교체형 배터리의 방수·방진 기능 한계 등에 대한 업계들의 의견 제시가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