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韓 유니콘 기업 늘리려면 CVC 규제 개선해야"

세계 유니콘 기업 중 韓 기업 수 비중 2.2%→1.2%

중기/스타트업입력 :2023/06/21 09:33    수정: 2023/06/21 10:02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으로 성장할 스타트업 투자 활성화 위해 CVC 규제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CVC는 비금융권 기업이 설립한 투자전문회사로 대기업이 출자한 벤처캐피탈이다. 일반지주회사 소속 CVC는 비지주회사 그룹의 CVC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규제가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투자 활성화를 위해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1일 주요국의 유니콘 기업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유니콘 기업 비중이 절반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서울 여의도 소재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회관 전경. (사진=뉴스1)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 전 세계 유니콘 기업 수가 2.7배(449개→1,209개) 늘어나는 동안 한국의 유니콘 기업 수는 1.4배(10개→14개) 증가하는데 그쳐 한국 유니콘의 전세계 비중은 1.0%p(2.2%→1.2%) 감소했다.

주요 국가별 유니콘 기업수는 대부분 증가했으며 비중이 증가한 국가는 미국(48.6%→54.2%), 인도(4.5%→5.8%), 프랑스(1.1%→2.1%), 이스라엘(1.6%→2.0%) 등이며 감소한 국가는 중국(24.3%→14.0%), 영국(5.3%→4.1%), 한국(2.2%→1.2%), 인도네시아(1.1%→0.6%) 등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5.6%p(218개→655개) 증가하며 전세계 유니콘의 반 이상을 차지했고, 중국은 감소 추세로 최근 5년간 10.3%p(109개→169개) 낮아졌다.

전세계 유니콘 기업의 가치는 2019년 1조3천546억달러에서 2023년 3조8천451억 달러로 183.9%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한국은 290억달러에서 325억달러로 12.0%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세계 유니콘 기업가치 중 한국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2.1%에서 2023년 0.8%로 5년 전에 비해 1.3%p 감소했다. 

미국은 같은 기간 4.6%p(48.8%→53.4%) 증가했고, 중국은 10.3%p(29.4%→19.1%) 감소하였다. 프랑스, 호주, 이스라엘, 캐나다의 기업가치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고, 인도, 영국 등은 5년 전과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한편, 세계적으로 유니콘이 많은 업종은 핀테크(21.3%), 인터넷 소프트웨어·서비스(18.9%), 이커머스(8.9%), 헬스케어(8.0%), 인공지능(7.6%), 공급망·유통·배달(5.5%), 사이버 보안(4.8%) 순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한국 유니콘 기업수는 주요 국가 대비 이커머스(28.6%), 모바일&통신(14.3%), 소매(7.1%) 업종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반면 핀테크(7.1%), 헬스케어(0%), 데이터 관리&분석(0%), 인공지능(0%) 분야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했다. 한국의 유니콘은 주요 국가에 비해 데이터 분석 기술 기반 기업 보다 커머스, 통신, 유통 등 판매와 통신 서비스 측면에 치우쳐 있었다.

전경련 추광호 경제산업본부장은 “스타트업의 성장과 유니콘 증가를 위해서는 스타트업 성장 과정에서 원활한 투자가 필수”라며 “이를 위해서는 CVC 규제를 개선하고 스타트업이 해외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