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행정지원 서비스, AI 도입으로 국민 지원 확대

컴퓨팅입력 :2023/06/15 12:40

정부 행정 업무에 민간의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AI 행정지원 서비스’ 개발이 추진된다.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AI 행정지원 서비스 개발을 위해 민간 AI 플랫폼 기업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고 15일 밝혔다.

16일 진행하는 체결식에는 네이버클라우드, KT, LG CNS, SKT 등이 참여한다. 이들은 협력을 통해 ▲인공지능(AI) 행정지원 서비스 개발 ▲공공데이터 개방 ▲기술 교류, ▲정책과제 발굴 등을 추진한다.

행정안전부

이번 서비스 개발은 4월 정부가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의 핵심 과제로 발표한 ‘정부 전용 초거대 AI 비서 구현’의 일환이다.

행정안전부가 행정문서를 AI 학습에 적합한 형태로 수집, 가공해 민간기업에 제공하면, 민간기업은 데이터를 활용해 ‘인공지능 행정지원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이다.

AI을 활용한 서비스가 개발되어 보고서 작성 등 공무원 행정 업무를 지원하면, 행정·복지서비스가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정부의 생산성도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공문서 데이터 개방을 통해 국내 AI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한다. 정부에서 생산하는 공문서는 공공성,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정제된 데이터다. 이를 개방해 AI와 결합하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AI 행정지원 서비스 시범 개발을 통해 정부 내부 업무에 AI 적용 가능성과 적합 분야 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정부의 업무관리시스템을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으로 개편할 계획이다.

재난, 재해 대응, 복지, 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행정 서비스에서도 AI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관련기사

행정안전부는 업무협약을 체결한 기업 외에도 자체 AI 모델 개발 능력을 보유한 국내 전문기업과 지속적으로 협력하며 민·관 협업의 저변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창섭 차관은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행정데이터와 기업의 초거대 AI 기술을 접목해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구현하겠다”라며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선제적이고 창의적인 정부 혁신을 선도하여 국민의 삶을 변화시키는 새로운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