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뷰티윈도'와 '해외직구윈도' 서비스가 종료된다. 대신 이 두 카테고리는 인공지능(AI) 기반 개인화 추천 기능이 적용된 '패션타운'에 들어간다. 패션과 뷰티 카테고리에 관심이 높은 사용자를 모아 더 많은 브랜드사와 사용자가 연결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2일 네이버에 따르면 7월 31일 뷰티윈도와 해외직구윈도 카테고리가 사라지고 패션타운에 통합된다. 패션타운은 패션뷰티 통합 검색과 탐색, 이용자 맞춤형 상품 등 고도화된 추천이 특징인 패션 전문 서비스로, 현재 베타로 운영되고 있다.
네이버 측은 "AI 기반 개인화 추천서비스의 사용성을 뷰티 카테고리에도 적용해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쇼핑 탐색과 취향 추천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https://image.zdnet.co.kr/2023/06/02/ae1d647f0b46220da5b190a3ab475dfc.jpg)
패션타운은 지난해 11월 기존 상품 전시 중심의 백화점 윈도, 아울렛 윈도 등 패션 윈도 시리즈를 한데 모으고, 패션 전문 검색과 개인화 추천을 강화한 패션 전문 버티컬 서비스다. 패션타운의 월 방문자 수는 오픈 5개월 만에 1천만 돌파를 앞두고 있다.
네이버 패션타운은 백화점 매장과 아울렛, 패션 브랜드 직영몰뿐만 아니라, 소호&스트릿, 패션 디자이너들의 제품까지 모아뒀다. 또 네이버의 딥러닝 기반 개인화 상품 추천 시스템인 에이아이템즈와 고객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는 클로바 MD가 적용돼 있기도 하다.
이런 개인 맞춤 추천은 타 패션 플랫폼과 차별점으로 꼽힌다. 인지도가 낮거나 신규 상품이라고 하더라도 상품의 특성과 이용자의 취향에 맞는 요소가 포함돼 있다면 추천된다. 판매자에게는 판매 증진과 마케팅 효과를 주고, 구매자에게는 선호하는 스타일에 맞는 상품을 찾을 수 있게 한다.
특히 소규모의 소호&스트릿, 디자이너 영역의 판매자들은 상품 구매자들과 매칭되는 기회가 높아져 구매 전환율이 상승하고, 매출이 증대되고 있다. 패션타운 입점을 통해 월 매출이 백만원대에서 억대까지 성장한 케이스들이 다수 생겨나고 있다.
AI추천을 통해 소호&스트릿은 주문 건수가 전년 동기대비 225% 성장했으며, 매출 또한 284% 성장했다. 취향은 물론, 가격대까지 추천이 중요한 고관여 상품인 디자이너 상품들은 주문 건수와 매출이 각각 395%, 498% 가까이 성장하는 등 패션타운과 AI 추천을 통한 성장 효과도 확인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 네이버, 인물정보 프로필에 전문성·취향까지 반영2023.06.02
-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기술로 쇼핑라이브 큐시트 작성 돕는다2023.06.01
- 네이버, 소상공인 성장 지원 ‘SME 브랜드 런처’ 시작2023.06.01
- 네이버, 검색 새 단장..."AI 검색 경험 최적화"2023.05.26
회사는 디자이너와 브랜드들만의 정체성을 보여줄 수 있는 전시 공간도 강화하고 있다. 패션타운에서는 상품 전시뿐만 아니라, 디자이너와 브랜드 고유의 상품을 둘러보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 각 브랜드의 소개 콘텐츠도 쉽게 살펴볼 수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개인화 기반과 취향 취천을 중심으로 다양한 브랜드 및 상품을 편리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할 예정으로, 패션 및 뷰티 카테고리에 관심이 높은 고관여 사용자들의 풀을 늘려 브랜드사에게도 더 많은 잠재고객과의 접점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화 추천을 위한 로직을 고도화해 나감과 동시에 빠른 배송, 혜택, 콘텐츠, 리뷰 등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