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디지털바이오 7대 선도프로젝트’ 진행..."AI로 신약 설계”

1일 수출전략회의서 "글로벌 수준 디지털바이오 혁신 생태계 조성"

과학입력 :2023/06/01 13:55    수정: 2023/06/01 15:57

서울대병원이 보유한 의료 빅데이터와 연구진이 MIT와 협력해 난치성 뇌질환 치료에 도전하는 프로젝트가 성사될 수 있을까.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차세대 신약을 위한 항체를 설계하고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예측하는 연구 프로젝트를 정부가 지원한다. 의료계와 과학기술계를 연계해 의사과학자를 양성한다.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보스턴 인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열린 MIT 디지털바이오 석학과의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1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전략회의(제5차 수출전략회의)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같은 내용의 디지털바이오 인프라 조성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4월 윤 대통령 미국 국빈 방문 때 개최된 'MIT 디지털바이오 석학과의 대화'에서 논의된 내용을 정책으로 구체화해 발표한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바이오 7대 선도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기존 바이오연구와 산업이 가진 한계를 뛰어넘는 성공사례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선도프로젝트는 ▲차세대 신약을 신속하게 설계하는 ‘항체설계 AI’ ▲단백질의 3차원 구조와 복합단백질 결합을 예측하는 AI '딥폴드(DeepFold)' ▲치매환자, 자폐환자 등을 인공지능으로 진단·모니터링 하는 '마이닥터24' ▲희귀질환·암 등을 유전자 검사로 예측·관리하는 '닥터앤서 3.0' ▲GPT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일상 생활 속 우울, 스트레스 등을 관리하는 '마음건강앱' ▲빅데이터 기반으로 노화 원인을 규명하고 예방·지연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한국인 노화시계' ▲생각만으로 의사소통 가능한 뇌파기반 음성 합성 기술 '뉴로톡(NeuroTalk)'으로 구성된다.

또 디지털바이오 성장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인재양성, 첨단장비, 디지털 연구플랫폼, 기업성장 지원 방안들도 추진한다.

바이오 특화 AI 대학원을 신설하고 의과대학에 의료 AI 정규과정을 개설해 바이오 전문지식과 디지털 기술을 겸비한 융합 인재를 양성한다. MIT와 하버드 의대의 HST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해 의과대학과 공과대학 등 의료계와 과학기술계 간 연계를 기반으로 세계적 수준의 의사과학자를 양성한다. 

국가 바이오파운드리를 구축해 바이오 제조공정을 자동화‧고속화‧디지털화하고, 빅데이터 분석 등 디지털바이오 연구에 특화된 초고성능컴퓨터 구축을 추진한다. 연구장비 공유·활용 지원허브와 데이터 기반 연구플랫폼을 구축해 연구자를 지원한다. 신생기업 입주보육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디지털바이오 혁신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전주기적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관련기사

국내 젊은 연구자의 미국 파견연구 및 해외 선도 연구기관 연구자들의 국내 초빙연구를 지원해 글로벌 첨단바이오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구내 우수 연구기관과 보스턴 선도 연구기관 간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보스턴-코리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바이오로의 대전환은 뛰어난 디지털 역량, 풍부한 의료데이터, 우수한 인력을 보유한 우리나라가 바이오 선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특히 미국과 같은 바이오 최선진국과의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성공모델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들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이어지도록 민관협력을 통해 세부 방안들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