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울산·고양시 등 6곳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지자체 선정

자율주행·신재생 에너지 등 스마트 서비스 혁신 거점 도약

디지털경제입력 :2023/05/04 12:57    수정: 2023/05/04 13:01

국토교통부는 2023년 거점형 및 강소형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공모 결과, 거점형에 울산광역시·고양시 등 지자체 2곳, 강소형에 평택시·목포시·태안군·아산시 등 지자체 4곳을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거점형과 강소형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은 시민과 기업, 지자체가 힘을 모아 기존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찾아내고 만들어나가는 사업이다.

거점형 스마트시티 사업은 도시 전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개발·구축해 스마트시티의 확산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선정된 지자체에는 각각 국비 200억원(지방비 일대일 매칭)을 지원한다.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 전경

울산광역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신사업을 창출하기 위한 첨단 혁신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우정혁신도시와 성안동 일대를 스마트시티로 조성하는 계획을 수립, 울산의 도시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자율주행 기반 수요응답형 버스·스마트 교통패스 등 모빌리티 관련 서비스와 신재생 에너지 측정 시스템·탄소중립 리워드 등 친환경 솔루션, 스마트 헬스케어 등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SK플래닛·씨엘·울산테크노파크·울산대학교 등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했다.

고양시는 경기권의 데이터 허브 거점도시로 혁신성장동력 연구개발(R&D)과 연계해 데이터 허브의 중추적인 역할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드론밸리를 조성해 향후 드론 등 혁신산업 거점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고양드론앵커센터를 활용한 드론과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클러스터 구축,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응답형 버스, 킨텍스·호수공원을 중심으로 스마트폴·미디어월 조성 등을 추진한다.

고양산업진흥원·LX 경기지역본부·카카오엔터프라이즈·시티랩스 등이 참여했다.

강소형 스마트시티 사업은 기후위기·지역소멸 등 최근 환경변화에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한 특화솔루션 집약 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각각 국비 120억원(지방비 일대일 매칭)을 지원한다.

기후위기 대응형은 평택시와 목포시가, 지역소멸 대응형은 태안군과 아산시가 선정됐다.

평택시는 급속한 인구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과 탄소배출량 증대에 대응해 시민참여를 끌어낼 자발적 탄소시장을 구성해 녹색 스마트시티를 구축할 계획이다.

제로에너지빌딩 등 친환경 건물 관리체계를 강화하고 산업 방류수를 가로수 생육 등에 활용한 탄소배출권 확보, AR 기반 도시숲 관리 등을 통한 시민참여 활성화를 구현할 계획이다.

KT엔지니어링·대지정공·케빈랩·데이터얼라이언스·가천대학교·KAIST 등이 참여했다.

목포시는 친환경 스마트 해양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친환경 자율주행 교통과 스마트 업사이클링 솔루션을 도입,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탄소중립 신산업을 도입해 강소 스마트시티를 조성할 계획이다.

내연차량으로 인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주요 교통을 친환경 전기셔틀을 이용한 자율주행 노선으로 전환하고, 해양쓰레기 해결을 위해 친환경 신산업인 업사이클링을 도입해 지속가능한 선순환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전라남도환경산업진흥원·코리아DRD·목포과학대 등이 컨소시엄에 참여했다.

태안군은 미래형 첨단 모빌리티와 관광을 경험할 수 있는 스마트솔루션을 적용해 지역소멸 문제를 대응하는 한편, 지역산업을 육성해 비즈니스 모델로 확립한다는 계획이다.

원도심의 고령화 등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요응답형 교통·로봇카트·노인 생활안전 케어존 등을 구성하고 기업도시 특화산업 지원을 위해 드론 배송 및 순찰, 관제시스템 등을 도입할 계획이다.

참여기관으로는 현대도시개발·현대건설·현대자동차·파블로항공·핀텔·KT·한서대학교 등이 있다.

아산시는 서남부권 인구 감소지역을 대상으로 디지털노마드 유입을 위한 업무·휴식 공간 구성과 이를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을 실증해 타지역 인구를 유입하고 도시산업 육성을 위한 데이터 기반 스마트 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도시 내 유휴시설과 캠핑장 등을 활용해 공간을 구성하고, 스마트오피스, 수요응답형 교통, 전자시민증 등 서비스를 통해 디지털 노마드족을 유입하는 스마트시티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거점시설인 이노베이션 센터를 중심으로 산학연이 함께하는 지식공유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KT·제일엔지니어링·지케스·트러스테이·신한은행·호서대학교·충남과학기술진흥원 등이 참여했다.

관련기사

길병우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에 많은 지자체와 기업, 대학, 공공기관 등이 관심을 갖고 참여해 지역 수요에 맞는 다양한 유형의 혁신적 서비스가 제시됐다”며 “선정된 지자체에서는 시민이 편의성을 체감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축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국토부는 선정된 지자체와 협의를 거쳐 사업계획을 보완한 후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