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신평장림·부평주안산단, 스마트그린산단 신규 선정

노후산단, 디지털·에너지 효율화로 경쟁력 강화

디지털경제입력 :2023/04/21 12:08

광양국가산단, 신평장림일반산단, 한국수출국가산단(부평·주안산단)이 2023년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선정됐다. 노후산단 이미지에서 벗어나 역동적이고 혁신적인 산업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최근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추진위원회를 공동으로 개최하고 광양국가산업단지(전남), 신평장림일반산업단지(부산), 한국수출국가산업단지(인천)를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신규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전경

그간 정부는 창원국가산단, 반월시화국가산단 등 총 15개 스마트그린산단을 지정, 제조공정 디지털화, 에너지 효율화, 근로·정주 여건 개선 등을 지원해왔다. 이번에 선정된 광양산단, 신평장림산단, 한국수출산단은 지자체에서 자체 수립한 ‘산업단지 중심의 경쟁력강화계획’을 민간전문가들이 평가해 선정됐다.

전라남도는 광양국가산단 비전을 ‘다시 도약하는 미래 철강 산업단지’로 제시했다. 철강산업 저탄소 기술개발, 광양·여수 산단 수소공급 공용 인프라 구축,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제조혁신 기반 구축, 아름다운 거리 조성 등을 핵심사업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온실가스 감축, 스마트공장 확충, 청년고용률 향상 등의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제조혁신을 통한 미래 신산업 생태계 구축, 에너지 자립을 통한 친환경 산단으로 탈바꿈, 근로자를 위한 복합문화·공원 확충 등을 통해 신평장림일반산단을 ‘산업·환경·사람이 공존하는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첨단 제조거점’으로 조성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신평장림산단의 생산액·수출액·고용인원을 매년 상향시켜 나간다는 목표를 밝혔다.

관련기사

인천시는 한국수출국가산단 내 부평·주안 지역을 ‘기업이 성장하고 사람들이 찾아오는 혁신 지역으로 대전환’해 나간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제조업 디지털 전환 앵커기지 구축, 기업 성장 사다리 생태계 조성, 탄소저감 그린에너지 선도를 위한 친환경 인프라 지원 등을 핵심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산업단지 생산액 증가, 신규 일자리 창출, 온실가스 감축 등을 목표로 설정했다.

앞으로 산업부와 국토부는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산업단지 디지털화·친환경화 등을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지자체가 구상하는 핵심사업 구체성과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그룹 컨설팅을 실시하고 지자체 사업 추진에 필요한 예산 확보를 위해 함께 노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