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와 소통 창구를 개설했다고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향후 한국 데이터가 챗GPT를 모델링하는 데 활용된 바 있는지, 활용됐다면 국민 데이터가 적합하게 수집됐는지 등을 파악해 나갈 계획이다.
개인정보위는 14일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를 개최하는 자리에서 챗GPT와의 소통 창구를 최근 개설했다고 밝혔다.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은 "최근 개인정보위가 오픈AI에 한국 데이터가 챗GPT 모델링에 활용된 바 있는지 질의해 소통 창구가 개설됐다"며 "오픈AI로부터 220만명 정도의 한국인 이용자가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고 위원장은 "지금까지는 아주 기본적인 연락 창구가 마련된 단계이며, 어떤 식으로 한국 데이터가 활용돼 학습 데이터에 포함됐는지부터 시작해서 현황 파악을 해 나갈 예정"이라며 "현재 첫 단추를 끼웠고, 내부적으로 궁금한 사항을 정리하고 있는 중이며 추가적으로 질의하고 답을 구해 국민 데이터가 적절하게 쓰였는지 확인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챗GPT 유료 이용자에 대한 정보가 일부 노출된 거 아니냐는 보도에 대해서는 국내 이용자와 관련해 문제가 있는지 차차 확인해 봐야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고 위원장은 AI 영역은 개인정보위에게 큰 도전 영역이라고 말했다. 그는 "챗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모델이 앞으로 계속 나오게 될 텐데, 한국 서비스가 어떤 식으로 외국에서 거대 언어모델에 반영되는지를 챗GPT를 계기로 파악하는 작업을 시작했다"며 "외국에서 한국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수집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법 제도가 어떤 식으로 적용되는 게 맞는지, 법 제도를 내부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 전반적인 제도 정비 작업을 올해 내 진행해 외부에 발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개인정보위는 오는 6월까지 인공지능(AI) 데이터 안전 활용 정책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다.
고 위원장은 "초거대AI가 등장하면서 우리 사회 곳곳에 많은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개인정보위의 역할은 새로운 기술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해 국민 신뢰를 확보하고, 신산업 성장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AI가 성장하면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도 나타나고 있다"며 "위원회는 AI 전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 원칙을 제시해 균형된 데이터 활용 기준을 정립해가겠다"고 밝혔다.
고 위원장은 "예를 들면, AI 모델을 개발할 때 공개된 정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생체 정보는 어떻게 보호할 수 있을지 등 글로벌 스탠다드를 선도하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1500개 행정 서비스, 홈페이지 한 곳으로 모은다2023.04.14
- "ID 하나로 세금·복지 모두 처리…공공서비스 통합"2023.04.14
- 尹 "디지털플랫폼정부, 전자정부 업그레이드 아닌 차원이 완전히 다른 것"2023.04.14
- "거대AI 응용, 세계 1위 도전…올해 3901억원 투입"2023.04.14
한편, 개인정보위는 6월 '국가 마이데이터 혁신 추진전략'도 발표할 예정이다. 오는 5월에는 범부처 합동 '가명정보 이용 활성화 종합대책'을 발표한다.
이외에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보호법 하위법령 정비 및 관련 업계 의견 수렴을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