꿩 깃털로 물 부족 문제 해결할 수 있을까?

미국 연구진, 물 보관 및 운반 효율 높은 깃털 구조 규명

과학입력 :2023/04/13 10:16

아프리카 사막 지대에 사는 사막꿩은 특별한 능력이 있다. 이 새는 깃털에 물을 품은 채 흘리지 않고 날아가 목마른 새끼들에게 먹일 수 있다.

미국 연구진이 물을 안전하게 머금었다가 필요할 때 방출하는 사막꿩의 깃털 구조를 밝혔다. 새로운 흡수재나 효율적인 물병 제작 등에 활용될 수 있으리란 기대다.

이 연구는 학술지 '로열 소사이어티 인터페이스(Royal Society Interface)'에 최근 실렸다.

사막꿩이 물을 머금는 모습 (사진=존스홉킨스대학)

보통 사막꿩은 천적을 피해 물가에서 30km 정도 떨어진 곳에 둥지를 짓는다. 수컷 사막꿩은 물 위에 떠서 배 부분 깃털에 물을 머금은 후 이를 둥지로 나른다. 이때 몸무게의 15%에 해당하는 물을 품을 수 있으며, 시속 60km로 30분 가량 날면서도 물을 거의 흘리지 않는다.

사막꿩이 가장 효율적으로 물을 보관하고 이동하는 능력을 가진 생물로 꼽히는 이유다. 이런 특징은 이미 50년 전 발견됐지만, 이를 가능하게 하는 신체 구조에 대해선 잘 알려지지 않았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과 MIT 연구진은 고해상도 전자현미경과 컴퓨터 단층촬영 장비, 광학현미경과 3D 영상 기술 등을 활용해 사막꿩의 배 부분 깃털을 집중 분석했다. 마른 깃털을 물에 담갔다 꺼냈다를 반복하며 구조의 변화를 살폈다.

그 결과, 깃털 중앙의 깃대와 깃대에서 뻗어나온 깃가지 등이 물을 담기에 최적화된 구조와 움직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깃대와 깃가지들 사이에 물이 들어오면, 깃가지들은 구부러지며 물을 담는 텐트 비슷한 구조를 형성한다. 각 깃가지는 튜브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어 물을 담기에 적합하다. 또 깃털 끝부분의 깃가지들은 구부러진 모양이라 물을 잡아두는 뚜껑 역할을 한다.

사막꿩 깃털을 확대한 모습 (사진=존스홉킨스대학)

연구진은 이같은 사막꿩 깃털 구조를 응용한 신소재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액체를 원하는만큼 흡수하고 잘 보관하다가 필요할 때 방출하는성질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막 지역에서 안개나 이슬에서 물을 흡수한 후 쓸 수 있게 하는 흡수재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이 구조를 운동용 물병에 응용하면 많은 물을 담으면서도 안에서 출렁이거나 병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는 제품을 만들 수도 있다. 달리기 운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유용할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했다.

관련기사

조첸 뮬러 존스홉킨스대학 교수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감염 여부를 진단할 때, 검체 샘플에서 성분이 잘 스며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라며 "이 구조를 의료용 면봉에 응용하면 충분한 양의 검체를 잘 머금었다가 진단기에 안전하게 방출하게 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앞으로 비슷한 구조를 3D로 프린트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