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가뭄 근원적 해결…하루 61톤 용수 추가 확보

정부, 물 공급체계 조정·대체 수자원 개발

디지털경제입력 :2023/04/03 18:22

정부가 광주·전남 지역의 심각한 가뭄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중장기 가문대책’에 나섰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광주·전남 지역 중장기 가뭄 대책(안) 주요 방향’을 발표했다.

한 장관은 “관계 기관 협의와 국가물관리위원회 심의·의결 등을 거쳐 이달 안으로 중장기 가뭄 대책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달 31일 윤석열 대통령이 순천 주암조잘지댐을 방문한 자리에서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극심한 가뭄’ 등 기후 위기 상황에서 항구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함에 따라 지난해부터 심각한 가뭄이 지속되고 있는 광주·전남 지역을 우선적으로 중장기 가뭄대책에 들어갔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광주·전남 지역 중장기 가뭄 대책(안) 주요 방향’을 발표한 후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한 장관은 “이번 중장기 가뭄대책은 장래 물 수요 예측값과 주요 댐 물 공급능력을 과거 최대 가뭄과 기후변화 영향까지 고려한 극한 가뭄으로 나눠 재평가한 결과를 토대로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예상되는 생활·공업용수 부족량을 산정해 1단계 기본계획과 3단계 비상대책으로 구성했다. 전남 도서(섬) 지역은 여건과 특성에 맞는 별도 맞춤형 대책을 수립한다.

1단계 기본대책은 영산강·섬진강 유역 댐(주암댐·수어댐·섬진강댐·평림댐·장흥댐·동복댐) 별로 과거에 발생한 가장 큰 가뭄이 동시에 발생할 것을 가정해 생활·공업 용수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루 45만톤의 용수를 추가로 확보하는 것이다.

2단계 비상대책은 기후변화로 과거 최대 가뭄을 뛰어넘는 극한 가뭄이 발생할 것을 가정해 최소한의 생활·공업 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루 16만톤 이상의 용수를 1단계에 더해 추가로 확보하는 것이다.

물 공급체계 조정 모식도

환경부는 중장기 가뭄 대책이 확정되면 물공급 체계 조정 등 예산이 수반되는 일부 사업의 경우 올해 상반기 안으로 기본구상 용역에 들어가고 추후 예비타당성조사 등을 거쳐 구체적인 사업 규모, 공사시기 등을 확정할 계획이다.

섬 지역 중장기 가뭄대책은 지하수저류댐과 이동식 해수담수화 등을 활용한다.

상시 물 부족을 겪고 있는 전남 섬 지역을 대상으로 해수침투 방지, 생활용수 확보 차원의 지하수 저류댐 설치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지난해 12월 완도 보길도에 이어 신안 우이도와 대둔도, 완도 청산도, 여수 낭도 등을 후보지로 조사‧검토한다.

해수담수화 선박 접안이 어려워 비상급수가 곤란한 완도군 넙도 등에는 컨테이너형 이동식 해수담수화 시설을 활용해 물을 공급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4대강(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 본류의 16개 보를 물그릇으로 최대한 활용해 가뭄에 도움이 되도록 운영하는 방안도 병행 추진한다.

관련기사

보 수위 상승으로 본류와 지류의 수심을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해 가뭄 대응 용수를 공급할 계획이다. 4대강 보 영향 구간에 위치한 70개 취수장‧양수장과 71개 지하수 사용지역에 생활‧공업·농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한 장관은 “이번 중장기 가뭄대책은 광주·전남 지역에 다시 심각한 가뭄이 발생하더라도 주민 삶과 국가 경제에 전혀 지장이 없도록 안정적으로 생활‧공업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한강·낙동강·금강 유역도 올해 말까지 극단적인 가뭄에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중장기 대책을 마련해 기후위기에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