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영 의원 "비대면진료 중개업자 허가제 도입·담합도 금지해야”

"플랫폼, 미래의료 수단 되려면 제도 다듬어야”

헬스케어입력 :2023/03/30 10:31

비대면진료 중개업자에 대해 허가제를 도입하고 담합도 금지하는 내용이 포함된 법안이 국회에 제출됐다.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비대면진료 플랫폼에 대한 법적 근거와 의무를 규정하는 의료법을 대표발의했다. 개정안은 정보통신기술 등을 활용해 비대면진료를 중개하는 영업을 ‘비대면의료중개업’으로 하고, 비대면의료중개업을 하려는 자는 보건복지부 장관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의료체계의 왜곡과 의료의 과도한 상업화를 막기 위해 비대면진료중개업자가 지켜야 할 의무사항도 규정했다. 개정안은 의사·치과의사·한의사의 비대면진료에 개입하지 못하도록 하고, 의료서비스 및 의약품을 오남용하도록 조장하는 행위도 금지하는 내용을 명시했다.

새 정부에서 비대면 진료가 제도화될 것이 유력하다.

이밖에도 비대면진료중개업자가 의료기관 및 약국과 담합하여 환자를 소개·알선·유인하는 대가로 금전 등 경제적 이익을 주고받지 못하도록 했다. 비대면진료중개업에서 운영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인터넷 홈페이지의 의료광고 역시 의료법 제57조에 따른 의료광고 심의를 받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시켰다.

관련해 신현영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일부 의료기관 및 비대면진료 플랫폼 업체의 과잉의료와 의료의 상업화를 유도하는 행태를 지적한 바 있다. 신 의원에 따르면, 전북의 모 의원은 비대면진료로 3억여 원을 부당 청구했다. 이는 최근 5년간 20개 의료기관에서 대면진료로 부당 청구한 1억 9천만 원의 1.5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 의원은 이러한 부작용을 들어 비대면진료 플랫폼에 대한 제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개정안에는 국민께서 비대면의료 플랫폼을 믿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국가적 관리방안을 담았다”며 “비대면의료와 플랫폼이 현재의 의료체계를 왜곡하지 않고 안전한 미래의료 수단이 되려면 의료계 및 국민과 꾸준히 소통하며 세심하게 제도를 다듬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플랫폼에서 취득하는 국민의 의료데이터 활용은 어느 정도까지 허용할 것인지를 포함해 플랫폼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신 의원은 지난 20일 비대면진료를 ‘비대면의료’로 명칭을 변경하고,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1회 이상 대면하여 진료한 경우에 한해 비대면의료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비대면 의료법’ 개정안도 발의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