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전 교수 "초거대 AI 개발사, 챗GPT만 쫓아선 안 돼"

챗GPT 뛰어넘는 AI 모델 필요...올해부터 새 전략 짜야

컴퓨팅입력 :2023/03/16 16:34

"국내 초거대 인공지능(AI) 개발기업은 챗GPT만 추격한다. 이 전략만으론 부족하다. GPT 성능을 뛰어넘는 모델을 위한 투자와 개발이 필요하다."

경희대 이경전 경영학과 교수는 15일 서울 인터콘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디지털 리더십 포럼에서 "국내 초거대 AI 개발사와 정부는 챗GPT 기술을 뛰어넘기 위한 투자와 전략을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국내 초거대 AI 개발사 전략을 긍정적으로 평했다. 그는 "한국은 세계에서 3번째로 초거대 언어 모델을 만든 국가다"며 "네이버나 LG AI연구원 등이 한국어 특화 모델을 개발해 전 세계 주목을 받았다"고 말했다. 국내 IT 기업이 다양한 생성 AI 제품과 서비스를 자유롭게 개발할 수 있던 이유라는 의미다.

이경전 교수 (사진=지디넷코리아)

이 교수는 올해부터 네이버나 LG 등은 챗GPT 장벽을 뛰어넘는 모델 개발전략을 내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해까지 챗GPT와 같은 기술을 추격하는 것을 목표로 뒀다면 올해부턴 추격 이상을 해내야 한다"고 했다.

이경전 교수는 앞으로 AI 기술 투자에 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AI 모델 업데이트 1회에 1천억원 넘는 비용이 든다"며 "더 많은 훈련으로 높은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과감한 투자가 필수인 시점"이라고 했다.

AI에 과감하게 투자해야 하는 이유도 밝혔다. 그는 "오픈AI는 방대한 데이터로 모델을 지속 훈련하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는 이론을 증명한 셈이다"며 "초거대 AI 모델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과감한 투자를 필수 요소로 둬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사진=지디넷코리아)

정부도 AI 활성화에 힘써야 한다고 강했다. 그는 "정부는 자체적으로 다양한 AI 부서를 꾸려야 할 정도로 적극적이어야 한다"며 "정부 부처별로 AI 전담팀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 교수는 3년 전부터 정부에 정부에 요청해 왔다. 그는 "꾸준한 요청이 이제 받아들여지는 듯하다"며 적극적인 정부 노력도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