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온시큐어, 차세대 인증 서비스 확장한다

옴니원 통합인증 서비스, 디지털 신분증 확장…"공공 디지털 신분증 사업 연속 수주 도전"

컴퓨팅입력 :2023/03/15 15:04

라온시큐어가 기존 보안 솔루션에 더해 차세대 인증 서비스 플랫폼을 확장한다.

라온시큐어는 15일 서울 강남구 라온시큐어 본사에서 자회사 라온화이트햇과 함께 기자간담회를 열고, 차세대 IT 보안·인증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포했다.

라온시큐어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468억원, 영업이익 44.2억원, 당기순이익 79.8억원이 잠정 실적을 달성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라온시큐어는 ▲비대면 확대로 인한 보안 수요 증가 ▲대형 MDM 사업 수주 ▲모의해킹 수요 증가 ▲서비스 매출의 안정적 확대 등이 주요 원인이었다고 밝혔다.

라온시큐어 이정아 사장은 15일 서울 강남구 라온시큐어 본사에서 자회사 라온화이트햇과 함께 기자간담회를 열고, 차세대 IT 보안·인증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포했다.

라온시큐어 이정아 사장은 "이번 흑자전환은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대대적 R&D와 신규 사업 투자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이뤄낸 것으로 더욱 의미 있는 실적"이라고 설명했다.

라온시큐어의 주력 사업 모델은 ▲원패스 2.0 ▲옴니원 통합인증 서비스 ▲옴니원 NFT 마켓플레이스다.

원패스 2.0은 FIDO 기반의 인증 수단과 함께 FIDO2, OTP 등 다양한 인증 수단을 제공하는 다중 요소 통합 인증 솔루션이다. 지문, PIN, 패턴, 음성, 얼굴 등 MFA 방식의 다양한 인증 수단을 제공해 취약점을 드러낸 패스워드 체계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신한은행 SOL, 현대카드, 우리카드와 같은 금융업계 ▲정부24 등 정부·공기업·공공기관 ▲빗썸, 위메프 등  민간기업까지 다양한 고객사가 원패스 2.0을 사용하고 있다.

새 버전은 지난 2015년 출시된 1.0 버전 대비 솔루션 성능과 속도가 대폭 개선됐고, B2E 대응 조직·사용자 관리 강화,  클라우드 인프라에 최적화된 것이 강점이다. 라온시큐어 컨설팅 김형관 팀장은 "원패스 2.0은 제로트러스트 환경 구축에 용이해 최신 보안 환경에 가장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최근에는 온프레미스뿐 아니라 클라우드에서도 보다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라온시큐어는 기존 원패스 솔루션 외에 인증 서비스도 강화한다. 라온시큐어가 지난해 말 출시한 '옴니원 통합인증 서비스'는 공인인증서 폐지 후, 다양해진 민간 사설 인증서와 디지털 증명서를 한 곳에서 인증부터 검증까지 할 수 있는 서비스다. 전자서명 수단을 통합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증 수단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인증이 편리하며 보안성이 강화됐다. 표준 API도 제공해 쉽고 빠른 인증 서비스 연동이 가능하며, 고객사 리소스 절약이 가능하다.

현재 정부24를 포함한 110개의 공공웹사이트에서 간편 로그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 중 군인공제회, 경남도민증, 금융결제원 등 다양한 모바일 증명서와 신분증을 추가할 계획이다.

지난해 11월에는 유틸리티 NFT플랫폼 '옴니원 NFT 마켓플레이스'도 출시했다. 옴니원 NFT마켓플레이스로 현재 한국조폐공사의 금NFT를 단독으로 거래할 수 있다. 생체인증 FIDO와 블록체인 DID가 탑재된 신원 증명 기술이 적용돼 위변조를 방지하며 개인정보를 보호해준다.

해당 플랫폼을 활용하면 한국조폐공사의 999.9 순도 골드바와 NFT가 1:1 페깅된 금NFT를 구매부터 실물교환까지 가능하다. 현재는 1g, 10g, 375g, 100g, 375g, 1,000g이 거래 중이다.

한편, 라온 그룹은 오는 4월 말 여의도 신사옥 이전을 하며 미래 10주년을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라온시큐어 이정아 사장은 "지난해 10주년을 맞이한 라온은 오는 4월 여의도 신사옥 이전을 추진하는 등 새로운 10년을 향한 힘찬 시작을 앞두고 있다"며 "사옥 이전을 통해 조직과 업무환경을 재정비해 라온시큐어와 라온화이트햇이 차세대 IT 보안·인증 서비스 기업으로 거듭나는 모멘텀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라온시큐어는 라온화이트햇과 함께 디지털 신분증과 차세대 인증 서비스 플랫폼을 확장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 중 모바일 국가 유공자증을 새로 선보일 예정"이라며 "이미 서비스하고 있는 모바일 공무원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의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공공 디지털 신분증 사업의 연속 수주에 도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