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실리콘밸리 돈줄' SVB 파산…IT업계 비상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벤처캐피털 등 직격탄 맞을듯

금융입력 :2023/03/11 11:07    수정: 2023/03/12 13:49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기자 페이지 구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미국 서부 지역 주요 IT기업과 벤처캐피털의 젖줄 역할을 해 왔던 실리콘밸리은행(SVB)이 파산했다. 

CNBC를 비롯한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는 10일(현지시간) SVB를 폐쇄하고 보유 예금을 직접 통제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FDIC는 캘리포니아 주 금융보호혁신국의 임명에 따라 SVB 파산관재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파산관재인으로 임명된 FDIC는 보험에 가입한 예금자를 보호하기 위해 산타클라라 예금보험국립은행을 설립했다. 이 은행이 SVB에 예치돼 있는 보험 가입 예금자들의 예금을 관리하게 된다. 

SVB가 파산하면서 이 은행에 예탁된 미국 주요 기업과 부자들의 예금이 어떻게 될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산타클라라에 있는 실리콘밸리은행. (사진=위키피디아)

■ 예금 3억원까지만 보호…청산 절차 끝날 때까지 자금 묶일 수도 

1983년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아에서 영업을 시작한 SVB는 기술 기업 전문은행으로 유명하다. 그 동안 캘리포니아주와 매사추세츠주에서 17개 지점을 운영해 왔다.

이번 사태는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최대 규모 은행 파산이라고 CNBC가 전했다. 특히 SVB는  그 동안 미국 주요 IT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털들의 돈줄 역할을 해 왔기 때문에 만만찮은 후폭풍이 예상된다. 

FDIC 보험 약관에 따르면 예금자 1인당 25만 달러(3억3천만원)까지 보호해준다. 예금보험 한도 이내 금액은 13일 이후 인출할 수 있다. 

또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예금자들은 은행 청산관리의 회수금에 대한 채권을 나타내는 청산관리증서를 받게 될 것이라고 FDIC가 밝혔다. 이들은 다음 주중 선배당을 받게 되며, SVB 자산을 매각한 이후 추가 배당이 지급될 수도 있다.

실리콘밸리은행 홈페이지.

보험에 가입한 예금자들도 전액 상환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 FDIC가 25만 달러까지는 보호해주지만 이 금액 초과분에 대해선 보호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25만 달러를 초과하는 예금에 대해 어느 정도 상환해줄 지에 대해선 SVB 자산 규모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결국 SVB 자산 매각 절차가 마무리될 때까지는 일부 기업들의 자금줄이 마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CNBC가 전했다. 경우에 따라선 직원들의 급여가 밀릴 수도 있다는 의미다.

■ 금리인상으로 고전했던 VC들은 더 큰 어려움 예상 

지난 해 말 기준 SVB의 총자산은 2천90억 달러(276조5천억원), 총예금은 1천754억 달러(232조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보험으로 보호되는 예금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는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FDIC가 밝혔다.

관련기사

미국 실리콘밸리의 젖줄 역할을 했던 SVB가 파산하면서 IT 기업들 뿐 아니라 신용 기관도 각종 금융기관들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특히 금리 인상과 기업공개(IPO) 둔화로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어 왔던 벤처캐피털들에겐 이번 파산 사태로 어려움이 배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