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D램 매출 33% 급감…삼성, 나홀로 점유율 상승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ASP 하락 원인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23/03/03 10:01

지난해 4분기 글로벌 D램 메모리 반도체 매출이 전분기 보다 3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삼성전자는 경쟁사 보다 매출이 가장 적게 줄면서 점유율은 전분기 보다 증가한 것으로 집계된다.

3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D램 매출은 32.5% 감소한 122억8천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같은 감소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4분기의 매출 감소폭(36%)에 육박한 수준이다. 4분기 D램 매출이 급감한 주요 원인은 전체 평균판매단가(ASP) 하락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개발한 업계 최선단 12나노급 16Gb DDR5 D램(사진=삼성전자)

지난해 4분기 DDR4와 DDR5 서버 D램 제품의 계약가격은 전분기 대비 각각 23∼28%, 30∼35% 떨어지며 가장 급격한 하락세를 겪었다.

상위 3개 D램 공급업체인 삼성,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모두 지난 4분기 매출이 전분기 대비 크게 감소했다. 삼성은 상위 3개 기업 중 매출 감소폭이 가장 적었으며, 그 결과 점유율이 상승했다. 

트렌드포스는 D램 공급업체들은 시장점유율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지난 4분기 계약 가격 협상에 훨씬 더 적극적이었다며 "삼성전자는 가장 공격적인 가격 경쟁을 펼쳤기 때문에 전반적인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출하량을 늘릴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삼성의 지난해 4분기 D램 매출은 전분기 대비 25.1% 감소한 55억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시장점유율은 3분기 40.7%에서 4분기 45.1%로 4.4%포인트 상승했다.

관련기사

2위 SK하이닉스의 4분기 D램 매출은 전분기(52억4천200만달러)보다 35.2% 감소한 33억9천800만달러로 집계됐다. 시장 점유율은 3분기 28.8%에서 4분기 27.7%로 1.1%포인트 하락했다.

3위 마이크론의 4분기 매출은 28억2천900만 달러로 전분기(48억900만 달러)보다 41.2%나 급감했다. 시장 점유율은 3분기 26.4%에서 4분기 23%로 3.4%포인트 내려갔다.

2022년 4분기 D램 매출 및 점유율(자료=트렌드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