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부동산 PF 주요 사업장 관리"

건설사 리스크도 모니터링

금융입력 :2023/02/23 09:37    수정: 2023/02/23 10:25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리스크 우려가 대두되는 가운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건설사 사업장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다”고 말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복현 금감원장은 전날 금융투자협회에서 자산운용사 최고경영진(CEO)과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부동산PF 관련 점검은 취임한 이후부터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다”며 이와 같이 발언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복현 원장은 “기존에도 리스크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있었지만 조금 더 이를 고도화하는 차원에서 전국 주요 사업장들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주요 사업장들을 규모 혹은 유익성 등으로 분류해 사업장별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복 원장은 “최근 부동산PF 형태가 다양한 공동투자 혹은 PF-ABCP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며 “투자 참여자가 다양해진 점을 고려해 보다 복합적인 시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어느 정도 정비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결국 프로젝트파이낸싱 자산유동화기업어음(PF-ABCP)의 문제는 건설사와 연결됐기 때문에 이들의 리스크를 당국이 함께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날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전날 ‘2023년 건설・부동산 시장 여건 진단과 주요 이슈’ 보고서를 발간했다.

관련기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정주 연구위원은 “지금의 부동산PF 문제는 과거와 비교해 훨씬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개발사업을 위한 금융 공급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며 “투자된 자금의 규모도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 비해 현저히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건설사의 부동산 사업 부실화에 따른 경제적 효과의 파급 경로가 다양해지고 있고 그로 인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클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