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알파세대 특화 메타버스 '키즈토피아' 출시

AI 친구와 동물·공룡 체험 학습...올 3분기 상용화 계획

방송/통신입력 :2023/02/22 09:05

LG유플러스는 알파세대 특화 메타버스 서비스 '키즈토피아'의 오픈 베타 버전을 이달 말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키즈토피아는 기존 시장에 진입한 소셜·게임형 메타버스 서비스와 달리, 수요가 명확한 타겟 고객인 알파세대에 특화한 메타버스 서비스다. 키즈토피아는 어린이를 뜻하는 '키즈(Kids)'와 이상향을 뜻하는 '유토피아(Utopid)'의 합성어로, '아이들이 마음껏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더 넓은 이상적인 세상'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키즈토피아가 지향하는 목표는 ▲개성을 나타내는 나만의 아바타를 만들어 ▲주제별로 준비된 생생한 체험공간에서 ▲온라인 친구들과 함께 즐기는 것은 물론 ▲인공지능(AI) 친구들과 대화하고 퀴즈를 풀며 자연스럽게 학습하는 메타버스 세상이다.

먼저 아바타는 키즈토피아에서 활동하는 이용자의 '부캐(부캐릭터)'다. 키즈토피아는 피부색, 얼굴형, 눈, 코, 입, 헤어, 헤어컬러 등 각각 10종 이상을 제공한다. 총 1만여종 이상 조합으로 이용자가 직접 자신만의 개성을 담아 나만의 아바타를 꾸밀 수 있다. 옷, 양말, 신발, 장식, 이모션 등 2백여종 이상 꾸미기 아이템도 제공한다. 키즈토피아는 매월 새로운 아이템을 공개할 예정이다.

가상 공간은 메타버스에 로그인하면 자동으로 입장하는 '중앙광장'을 비롯해 30종의 희귀 동물을 실사와 같은 형태와 모션으로 그대로 옮겨 놓은 '동물원'과 중생대 자연환경과 11종의 공룡을 구현한 '공룡월드' 두 가지 체험 공간으로 구성됐다.

중앙광장은 친구들과 만나 함께 탐험을 떠나는 공간이다. 최대 100명까지 동시접속이 가능하다. 친구들과 아바타를 통해 함께 소통하거나 캠핑, 눈싸움, 대관람차, 댄스 스테이지 등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으며, 다양한 꾸미기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상점도 있다.

중앙광장과 연결된 동물원과 공룡월드는 동물과 공룡에 대한 상식을 학습하는 공간이다. AI 친구에게 음성으로 동물이나 공룡에 대해 모르는 점을 질문하면 답변을 해준다. 체험 후에는 약 1천200여개 퀴즈를 풀며 관련 상식을 복습할 수 있다.

AI 친구로는 LG유플러스의 캐릭터 '유삐와 친구들'과 '홀맨'이 등장한다. 중앙광장에서 각종 액티비티와 체험공간을 안내하고 언제든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는 'AI 유삐', 체험공간별 맞춤형 퀴즈를 제공하는 'AI 핑키', 끝말잇기로 어휘력 향상을 돕는 'AI 코니', 모르는 영단어와 문장을 물어볼 수 있는 'AI 홀맨' 4종이다.

키즈토피아는 주 이용자인 어린이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퀴즈를 풀고 미션을 수행하면 보상을 제공하고 다음 목표를 제시한다. 보상은 상점에서 아바타를 꾸밀 수 있는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보석, 아바타를 꾸밀 수 있는 아이템, 퀴즈를 풀며 채워 나가는 도감, 각 체험공간별 주어진 미션 성공 시 뱃지와 칭호를 얻을 수 있는 도전과제 등이다.

LG유플러스는 서비스 공개에 앞서 이용자와 임직원 자녀 150명으로 구성된 체험단, 교육 전문가, 게임 전문가들의 자문을 얻어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어린이에게 보다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조성하고자 불량 사용자 차단·신고, 채팅 중 욕설·비속어 차단 등 플랫폼 자체 기능과 온라인 친구 관계 관리 등 보호자 모니터링 기능을 도입해 호응을 얻었다. 

최근 교육에 대한 밀레니얼 세대 부모의 가치관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놀이와 학습으로 변화하면서 디지털 콘텐츠가 아이들에게 새로운 학습습관을 들이는 도구로 급부상하고 있다.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에 따르면 2021년 국내 에듀테크 시장 매출액은 약 7조3천250억원이며, 연평균 8.5% 성장해 2025년 9조9천833억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LG유플러스는 알파세대가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변화를 가장 빠르게 받아들이는 세대로 꼽히는 만큼, 메타버스와 AI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세상에 대한 배움', '능동적인 경험을 통한 탐구심', '자유로운 방식의 놀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제공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들이 즐기면서 배울 수 있는 다양한 체험 콘텐츠와 인기 캐릭터 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이용자 의견을 반영하여 올 3분기에 공식 상용화를 검토할 계획이다.

김민구 LG유플러스 웹3사업개발랩장은 "향후 다양한 주제의 학습요소들을 지속 추가해 국내 대표 키즈 메타버스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