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카이스트와 초거대AI·소프트웨어 기술 연구 협력

대전 '코리아 테크 스퀘어'서 기술 교류 워크숍 개최

방송/통신입력 :2023/02/21 09:22    수정: 2023/02/21 15:14

KT는 카이스트(KAIST)와 대전 유성구 인공지능(AI) 공동연구센터 '코리아 테크 스퀘어'에서 AI 공동연구 워크숍을 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KT와 카이스트는 AI 기술 공동연구과제의 중간 성과를 공유해 연구 방향을 최적화하고, 양 기관의 관계자 간 교류를 지원했다. 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연구소장과 류석영 카이스트 전산학부장을 비롯해 KT 연구원과 KAIST 교수, 석·박사과정 학생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주요 프로그램은 KT의 초거대 AI와 메타버스에 관한 기술 소개, 카이스트의의 공동연구과제 연구 성과 발표, 과제별 토론과 참석자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소통 시간으로 구성됐다.

워크숍 참석자들이 발표를 듣는 모습 (사진=KT)
KT 본사 사옥. (사진=지디넷코리아)

이날 KT는 초거대 AI '믿음(Mi:dm)'의 주요 특징과 이를 토대로 한 AI API 서비스 활용 사례, 메타버스 플랫폼인 '지니버스'에 대한 기술과 사업 전략 등을 발표했다. 카이스트는 AI 원천기술과 AI 응용기술을 주제로 한 10개 공동연구과제에 대한 목표와 성과, 향후 계획을 내놓았다.

특히 공동연구과제에서는 초거대 AI 전문가 상담, AICC(AI 컨택센터) 상담 완결률, TTS(텍스트 음성변환) 품질, 메타버스 디지털 자산 등과 연관된 기술들이 다뤄졌으며, KT의 다양한 사업에서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KT와 카이스트는 각자가 보유한 AI, 메타버스 관련 기술과 지식을 교환하고, AI 기술을 활용해 산업·사회 전반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목표와 방향을 점검했다. 또, 양 기관은 과제별 정기 미팅과 연구 산출물에 대한 연간 평가 심의를 함께 진행하는 등 협력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동만 카이스트 공과대학장은 "AI와 소프트웨어 기술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인간 중심 AI 기술 개발을 목표로 디지털 인문학을 융합한 공동연구를 진행 중인 만큼, 양 기관의 협력으로 미래를 선도하는 과학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이한 KT 융합기술원장은 "KT와 카이스트가 AI와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기술개발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K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