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스마트 안전장구' 시장 진출 확대

현대엘리베이터 설치 근로자 실사용기 바탕으로 성능·편의성 강화

방송/통신입력 :2023/02/07 09:23

LG유플러스는 중대재해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발한 '스마트 안전장구' 사용성을 향상하고, 산업안전 솔루션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겠다고 7일 밝혔다.

스마트 안전장구는 LG유플러스가 현대엘리베이터와 지난해 1월부터 공동 개발한 솔루션이다. IoT 센서 3종(안전모·안전고리·안전벨트)과 비콘 센서, 작업자 전용 앱, 관제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해 10월 자사 설치 근로자 전원에게 안전장구를 보급, 근로자가  작업 중 높은 곳에서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약 3개월 동안 스마트 안전장구를 직접 착용하고 설치 작업을 해 온 현대엘리베이터 근로자의 사용자 경험을 토대로 스마트 안전장구 성능을 고도화하고 사용 편의성을 강화했다.

LG유플러스는 안전벨트 센서에 작업모드(고소·일반)를 변경할 수 있는 버튼과 이를 확인할 수 있는 LED 화면을 추가해 편의성을 더했다. 이는 장갑을 끼고 설치작업을 하던 중 전용앱을 실행해 작업모드를 바꾸기가 번거롭다는 근로자 의견을 반영한 결과다. 또한 얼굴형에 따라 안전모 착용감이 이질적이라는 의견을 수렴, 턱끈 센서 사이즈를 축소하고 센서 위치를 얼굴 밑 또는 측면 중 개인이 선택할 수 있도록 재설계했다.

LG유플러스는 어떠한 연령대의 설치 근로자도 쉽게 스마트 안전장구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작업자 전용 앱을 사용자 친화적인 UI·UX로 개편했다. 작업자 사용 가이드 영상, 대고객용 사용자 매뉴얼 등을 추가 제작했다.

관련기사

LG유플러스는 이러한 사용성 개선을 토대로 올해 스마트 안전장구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한국건설안전박람회 등 다수의 전시회에 참여해 스마트 안전장구를 선보여 왔다. 그 결과 현재 고소 작업이 필요한 구조물 관리 현장, 자동화 로봇 설비 현장, 버킷 차량 작업 현장 등 다양한 산업 환경의 기업과 사업 계약을 논의 중이다.

전승훈 LG유플러스 스마트인프라사업담당은 "현대엘리베이터 설치 작업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손쉽게 스마트 안전장구를 사용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이 조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다양한 산업에서 스마트 안전장구를 도입할 수 있도록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중대재해 예방에 실질적인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