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앱, 팬데믹 불황 속 자영업자 매출 보전"

전현배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연구 결과…"온오프라인 채널 인프라 구축해야"

인터넷입력 :2023/01/25 15:43

배달의민족(배민)과 요기요, 쿠팡이츠 배달앱이 팬데믹 이후 자영업자들의 피해를 줄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달 한국경제학회에 발표된 ‘배달앱 이용과 음식점업 매출: 대구광역시 코로나19 효과를 중심으로’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후 앱 이용 음식점과 비이용 음식점 간에 25% 포인트 매출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배달앱을 도입하지 않은 가게는 매출이 45% 하락했지만, 이용업체의 경우 20%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게 하루 매출을 100만원으로 가정하면, 팬데믹 이후 배달앱을 이용하지 않은 업체의 일 매출은 55만원으로 추락한 데 반해, 앱 입점업체는 일 매출 80만원으로 수익을 보전한 것.

(사진=우아한형제들)

이 논문은 전현배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교수가 신한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대구 외식업체 3만개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발생 초기 매출 변화를 분석했다. 조사 분야는 ▲일반음식점(한식·일식·중식·양식·일반대중음식 등) ▲패스트푸드(치킨·피자 등) ▲식음료점(카페·베이커리 등)이다.

관련기사

매출 보전이 가장 두드러진 곳은 일반음식점 부문. 배달앱을 사용하지 않은 일반음식점은 팬데믹으로 매출액이 42% 감소했지만, 이용업체는 18% 줄었다. 프랜차이즈가 많은 패스트푸드 업종은 이용업체와 미이용업체 사이 매출액 감소 폭 차이가 거의 없었다.

전현배 서강대 교수는 “배달앱을 통한 비대면 서비스로 대면 활동에 제약받던 음식점들이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면서 “점주들은 앞으로 있을 또 다른 팬데믹에 대비해, 온오프라인 채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