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업권 "경제 불황기, 사업전략·포트폴리오 변화 필요"

"MZ세대의 디지털 생태계 이용 특징 고민해야"

금융입력 :2022/12/13 14:56    수정: 2022/12/13 16:06

여신업권 전문가들이 여신사들의 사업전략 및 포트폴리오 변화를 강조했다.

13일 여신금융협회는 ‘3고(高) 경제시대의 여전업 전망과 대응방향’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비자코리아 유창우 상무

이날 포럼에 참석한 비자코리아 유창우 상무는 “2023년 지급결제 업황은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정부 규제, 핀테크와 플랫폼 시장 침투 지속 영향으로 부정적인 요인이 다수”라며 “특히 미국 등 각국 중앙은행의 고금리에 따른 조달비용 상승으로 카드사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유창우 상무는 “최근 금융이 비금융 영역의 서비스 상에 통합되는 사례가 확산되고 있으며 향후 가속화될 전망”이라며 “카드사들은 MZ세대의 디지털 생태계 이용 특징을 알고 있는지, 디지털 생테계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디지털 생태계 전략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지를 고민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캐피탈사가 운영하는 포트폴리오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강욱 나이스신용평가 실장

이강욱 나이스신용평가 실장은 “캐피탈사가 현금흐름에 중점을 둔 사업 포트폴리오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담보가치 위주의 여신 영업보다는 현금흐름 위주의 여신영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강욱 실장은 “유동성 측면에서 자본성이 강한 자금조달 수단 확보가 중요하다”며 “자산담보차입, 관계사 차입금, 한도차입, 장기 시장성조달 등 실질 상환부담이 낮은 자금조달 확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한편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신기술사업금융사 투자기금을 운용하는 기관을 중심으로 경기 불황기 여신사의 적극적인 행보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다.

아주IB투자 정대석 투자전략본부장은 “불황기 투자는 호황기보다 우월한 성과를 시현한다”며 “저렴한 가격에 좋은 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라고 말했다.